이선주기자 |
2022.04.15 18:48:22
부산시가 재난, 화재, 환경·해양, 교통사고, 범죄, 산업재해, 자살·감염병 등 7개 분야를 선정하고, 23개 중점과제에 5조 1400억원을 연차적으로 투입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안전사고 및 사망자 수를 50% 이상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15일 '시민안전+ 행복도시 부산 정책회의'를 개최해 부산의 전반적인 안전에 대해 논의하고, 전략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박형준 시장을 비롯해 시 간부 및 산하기관장과 교통, 보건, 환경, 토목, 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계와 연구기관 전문가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회의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를 앞두고, 일상 회복의 기대감과 함께 폭발적으로 재개될 시민들의 활동에 대비해 시정 전반의 안전 정책을 재정비하고, 분야별 전문가 의견을 청취해 시민안전을 준비하고자 마련됐다.
우선, 여름철 급증하고 있는 집중호우와 태풍에 대비해 2030년까지 총 6765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재해위험지역 53곳에 2666억원을 투입해 배수펌프장, 우수저류시설 등 재해예방 인프라를 조성한다. 올해 하반기에는 도시침수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시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화재 신고부터 현장 도착까지 단계별 출동환경을 개선해 화재현장 7분 이내 도착률을 90% 이상으로 높인다. 취약계층 20만 가구에 화재안전시설을 보급하고, 2025년까지 소방관서 3곳을 신설한다.
산사태 취약지역 355곳을 지정해 관련 예방사업을 확대 시행하고, 시내 해수욕장 전 구간에 2030년까지 24시간 지능형 CCTV를 도입한다. 대형 태풍과 해일 대비 2029년까지 3710억원을 투입해 재해예방 연안정비사업 등을 실시한다.
15분 도시 정책과 연계해 생활권 교통 환경을 개선하고, 모든 시민이 안심하고 걷기 좋은 도시 환경을 조성한다. 부산 자치경찰을 통해 시민이 참여하는 생활 밀착형 치안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올해 하반기에는 부산형 여성폭력방지 통합플랫폼을 구축·운영해 범죄예방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안전보건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기적인 실태점검을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한다. 산업안전 보건환경 실태조사를 올해 실시해 재해 위험이 높은 사업장과 근로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온·오프라인 시민 상담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2030년까지 269억원을 투입해 마음건강 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을 150명까지 확충한다. 지역기관 간 안전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2026년까지 서부산의료원과 권역별 지역거점병원을 마련·건립한다.
마지막으로 기후위기로 인한 대형·복합 재난을 대비하기 위해 재해 위험도를 분석하고 대응 신기술 개발한다. 2023년까지 198억원을 투입해 재난안전산업지원센터를 구축한다.
박 시장은 "오늘 마련한 비전과 전략을 통해 안전 인프라와 제도를 개선하고, 시민들의 생활 속 안전 의식 향상을 위한 정책도 함께 추진 할 것"이라며 "시민안전+ 행복도시 부산 전략을 내실 있게 추진해 가정과 학교, 일터에서 모든 세대가 안심하고 생활하는 안전한 일상을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