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원섭기자 |
2022.03.10 10:28:05
길거리에 내걸린 현수막을 비롯해 후보 알림용 벽보, 집으로 배달되는 선거공보, 그리고 한 표를 행사할 투표용지 등등 선거 하면 떠오르는 상징들이지만 이 같은 수많은 물품들은 대부분 일회성으로 쓰인 뒤 선거가 끝난 뒤 버려지기 때문에 환경 파괴가 수반된다. 이 물건들은 이번 대선에서만 4210억원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난 2020년 21대 총선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우려로 한번 쓰고 버리는 일회용 비닐장갑은 더 큰 문제다.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투표장에서의 감염을 막기위해 막대한 양의 비닐장갑이 사용되었는데 폐기 과정에서 환경 오염을 초래한다는 지적이 뒤따르고 있다.
일회용 비닐장갑은 1장당 길이가 약 28cm로서 대선 유권자 4400만여명 전원이 쓴다고 가정하면 8800만장 정도가 쓰레기로 사라지며, 이를 펼치면 서울~부산(390km)을 31번 왕복할 수 있는 2만4600km를 훌쩍 넘는다.
이와 관련 한경단체 한 관계자는 10일 <CNB뉴스>와의 통화에서 “투표소 입구에서 선거 사무원이 건넨 일회용 비닐장갑을 무심코 썼다가 쓰레기 봉지에 수북히 쌓인 장갑들을 보니 잠깐 쓰고 버리긴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장갑 대신 투표 후 손 씻기로 환경 보호와 코로나19 예방이 모두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녹색연합 관계자도 통화에서 “지난 2017년 19대 대선에서 후보자 종이 공보물은 약 4억부 제작됐고, 현수막은 5만2545장 나왔다”면서 “올해 대선에서는 현수막이 5년 전의 두 배 이상 허용된 것으로 감안하면 홍보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7312t에 달할 것으로 추정돼 30년 된 소나무 80만3522그루가 1년 내내 흡수해야 하는 양”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 관계자는 “뿐만 아니라 오는 6월 1일 치러질 지방선거에서는 더 많은 후보자가 나서기 때문에 훨씬 많은 홍보물이 쓰인다”면서 “2018년 7회 지방선거에선 2만772t의 온실가스가 배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동일한 양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됐다.
특히 선거 직후 철거하는 현수막은 플라스틱 합성섬유 ‘폴리에스테르’가 주성분이라 매립한다 해도 거의 썩지 않는 것은 물론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 배출 때문에 소각도 쉽지 않으며, 재활용률도 21대 총선 기준 25%에 그쳤다.
이에 환경단체 관계자는 “현수막 재활용은 결국 다른 모양의 쓰레기를 만드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사용 자체를 규제하는 게 유일한 대안이지만 정치권에선 이를 개선할 의지가 별로 없다”면서 “종이 공보물이나 플라스틱 현수막 등을 없애거나 줄이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통과 기약 없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 계류 중”이라고 말했다.
(CNB=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