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안보공, 전자산업 정비보수 작업 시 급성중독 예방 가이드 보급

  •  

cnbnews 손민지기자 |  2021.12.29 11:41:06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 취급 가이드북. (사진=안보공 제공)

안전보건공단 미래전문기술원(이하 미래원)이 전자산업 정비보수 작업 시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이하 TMAH) 취급에 따른 급성중독사고 예방을 위한 가이드 책자 및 영상을 보급한다.

TMAH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 등 전자산업에서 포토공정의 현상액으로 주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아주 낮은 농도의 TMAH(약 2.38%)라도 피부접촉 시 쉽게 피부에 흡수돼 호흡곤란 및 심장 마비를 일으키고 사망까지 이를 수 있는 급성독성물질이다.

지난 1월 한 제조업체에서 배관 내 TMAH 용액이 남아있고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배관해체 작업 중 용액이 분출돼 노동자 2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을 당한 바 있다.

‘TMAH 취급 가이드북’은 전자산업 주요기업에 대한 현장조사 및 기업의 안전보건 담당자 및 노동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제작됐다. △ TMAH와 급성중독 △ TMAH의 특성에 따른 재해예방 조치사항 △ 전자산업 특성에 따른 재해예방 조치사항 △ TMAH 설비 정비보수 매뉴얼 등 4개 테마로 구성된다.

특히, 정비보수 작업 시 원·하청(도급·수급업체)의 역할에 대해 제시해 작업주체별 명확한 사고예방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했으며, 약 5분가량의 영상으로도 제작돼 누구나 쉽게 TMAH의 유해위험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제작한 자료는 TMAH를 주로 사용하는 전자업종 및 TMAH 제조·유통사뿐만 아니라, TMAH 유통 도매업체를 통해 소량으로 취급하는 사업장 등 200개소에 배포할 예정이다. 공단 누리집에 게시해 누구나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문도 미래전문기술원장은 “전자산업 정비보수 작업 시 급성중독사고 예방을 위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이번 자료가 더 많은 산업현장에서 활용돼 재해 예방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