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11.11 14:52:45
부산시가 새로운 일자리정책을 내놓고 총 18개 과제를 수립해 여기에 3642억원 규모의 재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김윤일 경제부시장은 11일 오후 2시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날 오전 열린 ‘20차 비상경제대책회의’ 주제인 ‘일자리정책, 새로고침’ 논의 결과에 대해 발표했다.
시는 이날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새로운 일자리정책 비전을 ‘업스킬링 부산 Job’으로 정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4대 전략으로 ▲노동전환 적극 대응 ▲스마트 일자리정보 제공 ▲촘촘한 맞춤형 정책 ▲일자리사업 추진체계 고도화를 제시했다.
먼저 노동전환 대응 방안으로 디지털 전문가 1여만명을 양성하고 디지털 인재 유치를 위한 기업 인센티브 제도를 마련해 ‘인재양성~기업유치~일자리 창출’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산업구조 전환에 따라 직업능력개발훈련사업을 기존 기능인 양성 위주의 과정에서 탈피해 ‘스마트 제조’ 등 4차 산업 분야 과정을 추가 연계해 실제 취업으로 연계한다는 계획이다.
또 스마트 일자리정보 제공 전략은 ‘온라인 상설 채용관’을 구축해 비대면 채용 과정을 지원하고 기관별 홈페이지에 흩어져 있는 일자리, 훈련, 정책정보를 ‘부산일자리정보망’에 통합한다. 기존 오프라인 취업서비스 기관인 일자리종합센터는 ‘워크넷’ 및 ‘지산학 협력센터 DB’와 연동해 직종, 연령, 지역별로 세분화한 취업 지원 서비스를 연계, 제공할 예정이다.
촘촘한 맞춤형 정책 전략은 제조업 고용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을 올해 10억원에서 내년 20억원으로 늘리며 중대재해특별법 개정에 따른 컨설팅도 시행한다.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제조기업에는 인건비, 운영비 지원을 패키지로 제공하고 산업구조 변화 대응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창출사업은 ▲구·군 특화형 ▲부산광역형 ▲타깃형 3가지로 나눠 추진한다.
이외에도 일자리사업 추진체계 고도화를 위한 전략으로 각 부서의 정책대상별로 추진 중인 일자리사업의 중복, 유사성을 피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한 ‘일자리사업조정회의’를 신설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일자리 정책대상별로 구분돼 운영 중인 일자리 관련 센터를 한 기관으로 통합하는 방안도 적극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김윤일 경제부시장은 “최근 정부에서 세계적 흐름인 저탄소, 디지털 전환에 맞춰 오는 2025년까지 총 160조원을 투자해 19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산업구조 전환 전략을 발표했다. 그러나 산업구조 전환 과정에서 신산업, 신기술 일자리는 늘어나나 디지털 산업으로의 전환 준비가 덜 된 중소기업과 근무자들에겐 노동 전환의 큰 파고가 밀려들 것이란 우려도 있다”며 “디지털과 저탄소가 가져온 이러한 기회와 위기의 길목에서 우리 시는 당면한 코로나19 사태 극복과 함께 미래를 대비하는 새로운 일자리정책의 방향과 전략을 세웠다. 이번 일자리정책 새로고침 대책을 토대로 코로나19 위기 이전의 수준으로 취업자수 회복뿐 아니라 고용의 내용 측면에서도 ‘완전한 회복’이 이뤄지도록 시의 모든 역량을 쏟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