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7.22 15:23:41
부산시가 오늘(22일) 오전 시청에서 ‘13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투자전문가, 기업 관계자, 기업지원 관계기관 관계자 등과 함께 ‘대기업 유치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부산시는 ▲그간 부산의 기업 유치성과 ▲기업유치 문제점 분석 ▲타 시·도 기업유치 동향 ▲대기업의 현 투자 동향을 되짚으며 기업유치 활성화 전략을 논의했다.
그간 부산시의 기업유치가 ‘제조업 중심’ ‘중소기업 위주’ 유치에 그친 원인으로 ▲입지 부족 ▲전문인력 유출 ▲차별화된 인센티브 제도의 미흡 등이 꼽혔다. 이에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큰 대기업과 첨단기술 강소기업을 적극 유치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
이를 위해 시와 관계기관은 ▲기업 수요에 맞는 각종 투자입지 확보 ▲파격적인 조건의 부지 제공 ▲차별화되고 고도화된 유치전략 수립 ▲경쟁력 있는 기업을 유인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제도 혁신 ▲글로벌대기업 중점유치가 필요하다고 결론냈다.
이에 시는 부족한 입지 확보를 위해 ▲10년 이상 표류한 장기 미활용 공유재산, 대기업과 첨단업종 기업 유치 위한 파격적인 조건으로 매각 ▲부산시의 공영개발로 건립 후 임대 방식 ▲첨단 IT, 지식서비스업 유치 위한 도심지 오피스용 건물 매입 후 임대 ▲대학 내 유휴공간과 입주 희망기업 매칭해 ‘기업캠퍼스’ 및 ‘연구센터’ 유치 ▲‘투자유치 전략지구’ 지정해 첨단기술 지닌 우수기업 선별 유치 등의 전략을 세웠다.
이날 박형준 시장은 그의 공약 중 하나인 ‘대기업유치’를 위해 올해까지 총 3개사를, 오는 2025년까지 10개 이상의 대기업을 부산에 유치할 것을 목표로 세웠다. 또 오는 11월에는 ‘대규모 투자설명회’를 서울에서 열고 균형발전 차원에서 부산지역 내 기업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제 감면, 규제 완화 등 방안을 정부에 건의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