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7.06 16:46:28
부산지역 아파트 매매가격 안정을 위해 ‘중장기 주택공급 확대’ ‘15분 생활권 도시를 통한 안정적 주택공급’ ‘외지인과 법인의 투기성 거래 억제’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부산연구원(BDI) 산하 경제동향분석센터는 6일 이같은 내용으로 ‘부산 아파트 매매가의 특징과 시사점, 해·수·동(해운대구·수영구·동래구)을 중심으로’ BDI 경제동향브리프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지역의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 2019년 11월 ‘조정대상지역 전면 해제’ 이후 전년동월대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1월 ‘조정대상지역 재지정’ 이후에는 거래량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기준으로 ㎡당 아파트 매매가는 수영구, 해운대구, 동래구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지역의 매매가는 지난 2019년 11월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재건축, 재개발 등 정비사업이 추진되는 지역에서 비교적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으며 아파트 법인 매입 비중은 지난해 3분기 이후로 보면 전년대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해운대구는 부산 외 거주자의 매입 비중이 계속 늘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현욱 분석위원은 “지난해 1분기 이후 아파트 매매가의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재건축, 재개발 등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에서 가격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때문에 아파트 매매가 안정화를 위한 정 수단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그 대안으로 주택공급 확대를 통한 가격 안정화가 핵심이며 ‘정비사업 절차 간소화’ ‘규제 완화 통한 공급물량 증가’ ‘가수요 억제 위한 시세차익 환수 장치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