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연구원 “‘평화도시 부산’ 확립 위해 ‘평화 가치 확장’ 필요” 제안

‘평화-산업 공공외교’ 및 ‘국제 평화행사 개최’ 등 방법 제시해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1.06.15 20:37:40

부산의 ‘평화도시’ 정책 추진을 위한 핵심 자원과 최종 목표 (그래픽=부산연구원)

세계 유일의 ‘UN 기념공원’이 있는 부산이 ‘평화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탈냉전 이후 사회변동 등을 반영한 평화의 가치를 확장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부산연구원(BDI)은 15일 위와 같은 내용으로 ‘호국보훈의 달 6월, 평화도시 부산의 과제’ BDI 정책포커스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탈냉전 이후 국제사회에서 평화·안보의 개념은 단순 ‘전쟁이 없는 상태’를 넘어 ‘평화롭고 정의로우며 포용적인 사회로 개인의 두려움과 결핍으로부터 보호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프랑스 파리의 지난 2017년 도시 폭동, 영국 런던의 2011년 차별 반대 폭동, 지난해 미국 흑인 폭동 등의 요인이 원인의 하나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위와 같은 관점에서 봤을 때 부산은 인구 유출, 고령화, 기상재난, 다문화 사회 진입, 주력산업 쇠퇴, 코로나19 사태 등에 따라 ‘시민 삶의 평화’가 위협받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부산 시민은 핵심 제조업 불황, 인구 감소를 비롯해 교육·의료·고용·일자리에서 불평등이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권태상 연구위원은 “경기도, 제주도, 광주광역시 등 전국 많은 도시가 평화도시를 위한 정책을 펴고 있다. 경기도는 ‘DMZ’를 활용해 분단의 상징을 평화의 상징으로 전환하기 위한 국제 이벤트를 열며 제주도는 4.3사건이란 역사적 상처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평화의 섬’을 구상하고 있다”며 “부산도 포용과 연대의 가치를 품은 피란수도 유산과 희생 및 평화의 가치를 품은 ‘UN 기념공원’과 ‘부산형 공적개발원조(ODA)’ 등의 자산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산의 평화도시 정책을 위해선 제주도의 ‘평화산업’ 전략을 벤치마킹해 평화 도시외교 정책과 통상정책을 결합한 ‘평화-산업 공공외교’를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고 전했다.

부산시의 피란수도 유적은 ‘평화 지향과 인류애의 가치를 보여주는 사례’라는 점을 어필해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준비를 하고 있다. 아울러 부산형 ODA는 70여년전, 대한민국을 향한 세계의 지원을 처음 받은 항구도시 부산이 전쟁의 참화를 딛고 오늘날 세계와 공생하기 위해 원조를 제공하는 모범사례로 평가된다.

 

‘피란수도 부산’의 특징 (자료제공=부산시, 그래픽=부산연구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