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6.01 10:45:31
부산시가 지역 광산에 대한 전수조사를 마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체계적인 광산 관리대책을 마련하겠다고 1일 발표했다.
앞서 지난 4월, 금련산 광산의 토양이 오염됐다는 지역 일간지의 보도가 나온 뒤 부산시는 지난달 21일부터 16개 구·군과 보건환경연구원 등 직원들로 점검단을 꾸려 전수조사에 나섰다.
이번 조사 대상은 채굴 인가를 받은 부산지역 광산 총 45곳 가운데 단 한 번도 채굴한 적이 없는 13곳과 합병된 1곳을 제외한 31개 광산이다.
조사 결과, 기존에 시가 매년 환경오염도를 조사해 광해관리공단과 ‘광해 방지사업’을 해왔던 8곳과 이번 조사에서 추가로 발견된 7곳까지 총 15곳이 중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시는 이번에 추가로 발견된 7개 광산의 토양과 갱내수의 시료를 채취해 오염도 분석과 검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그 결과를 광해관리공단에 통보하고 앞으로 이들 15개 광산을 대상으로 매년 오염도 조사와 광해 방지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조사 대상 광산 가운데 16곳은 채굴 흔적이나 광산의 흔적이 없는 곳으로 파악됐다고 시는 설명했다. 특히 이 가운데 8곳은 광해관리공단이 관리하던 부산지역 광산 23곳에 포함돼 있어 시는 관리대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공단 측에 현황 정비를 요청했다.
시는 이번 검사에서 오염도가 큰 광산은 토양 복원 등 광해 방지사업을 조기에 시행토록 소관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해 적극 관리에 나선다는 예정이다.
다만 광해 방지사업을 하더라도 단기간에 복원이 되는 것은 어렵기에 우선 연 1회 시행하던 정밀조사를 연 2회 이상으로 강화하며 출입을 제한해 시민의 건강을 보호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시는 내년에 시행할 예정인 ‘부산시 환경보건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에 폐광산 지역 주민의 건강영향조사를 포함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부산시 이근희 물정책국장은 “이번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폐광산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해 시민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고 토양 생태계 보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