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 수산업 위기에 ‘온라인 판로 개척’ ‘대출 이자 경감’ 등 지원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1.05.27 15:12:16

부산시가 27일 오후 1시 30분 유튜브 등으로 온라인 기자회견을 연 가운데 김윤일 경제부시장이 ‘비상경제대책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유튜브 캡처)

부산시가 최근 수산업이 안고 있는 어촌 인구 소멸, 선원 인력난,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등 각종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판로 개척’ ‘대출 이자 지원’ 등 정책 방향을 결정했다. 김윤일 경제부시장은 27일 오후 1시 30분 유튜브 등으로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고 이날 오전 진행한 ‘비상경제대책회의’ 결과에 대해 발표했다.

기자회견에서 김윤일 부시장은 “부산의 수산업은 풀기 어려운 아주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어업 분야는 고비용 저효율의 어업 형태, 어촌 인구 소멸, 선원 인력난 등의 근원적인 어려움을 안고 있다”며 “또 수산 식품업계는 기존의 단순 원물 가공·유통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변화에 임해야 하는 중대한 과제를 앞두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수산업계는 코로나19 상황과 자원 고갈뿐 아니라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등으로 그 어려움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며 7차 회의 대상을 수산업으로 정한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오늘 회의에서 이러한 수산업이 당면한 문제를 조속히 해소하고 부산의 수산업이 전통 어업을 기반으로 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는 데 역점을 두고 의견을 나눴다”며 “나아가 수산업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육성 기반을 만드는 데도 함께 머리를 맞댔다”고 전했다.

먼저 시는 수산식품 산업이 미래 성장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 폭을 더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기존 정부 보조금이나 금융권 자금에 의존하던 재원을 ‘수산 펀드’를 신규 도입하고 역량 강화를 위한 ‘수산식품 기업지원센터’를 오는 2023년 개설하며 수산식품 클러스터도 조성해 산업 전 주기를 지원하는 체계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수산물의 온라인 시장 판로 확대와 마케팅 지원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6여억원을 투입해 온·오프라인 시장 개척, 판로 확대 등 관련 9개 세부사업을 추진해 ▲라이브 커머스 마케팅 추진 ▲해양수산 벤처창업 청년 일자리 지원 ▲온라인 플랫폼 신규 진출 기업 애로사항 지원 ▲해양수산 창업 투자 지원사업 확대 ▲수산식품 산업 거점 단지 역량강화 사업 ▲수출 지원 프로그램 다양화 등을 시도할 예정이다.

어업인의 금융 부담 완화를 위한 단기 유동성 자금 확보와 이자 경감 사업도 다수 마련해 지원하겠다는 방향도 전했다. 이를 위해 시는 ▲TAC 참여 경영자금의 상환기간 1년 연장 ▲연근해 어업인이 사용하는 자금 이자 6개월간 유예, 정부에 건의 ▲부산시 경영 안정자금 지원 ▲어선 유류비 지원율 상항 조정 등을 시행한다.

이외에도 부산지역 수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으로 ▲영어 바우처 지원 등 어업인 직접 지원사업(174억원) ▲생산 기반시설 지원사업(138억원) ▲수산물 판매소 6000곳 원산지 전수 조사 등 수산물 안전성 관리 강화를 시행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