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신중년 일자리 지원기관들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할 허브 조직을 구축하고 ‘신중년 재기 복합타운’을 조성하는 등 신중년에 대한 대책을 논의한 결과를 발표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13일 오후 1시 30분 유튜브 등으로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고 금일 오전 ‘5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 따른 정책 계획을 발표했다.
기자회견에서 박형준 시장은 “오늘 회의에는 신중년층을 직접 고용하고 있는 민간 기업 대표들과 고용·경제 관련 관계기관 대표들, 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2시간 가까이 새로운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며 “정책을 펴는 데 있어서 늘 사각지대가 있기 마련이나 지금 우리나라 신중년층은 일자리, 복지, 삶의 질 등 모든 면에서 그야말로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금일 회의 주제 선정에 대한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박 시장은 “신중년층은 50~64세 사이에 계신 분들로 정년퇴직하거나 실제 일자리에서 물러나야 하는 시점이지만 미래에 대한 준비가 충분히 않고 복지혜택은 65세 이상에 집중돼 있다”며 “그간 부산시에서도 신중년층에 대한 여러 지원정책을 마련하고 진행해 왔으나 서울이나 경기도 등 다른 시·도에 비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상세한 실태 파악이나 민간과의 거버넌스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고 있어 체계적 지원을 위해 민과 관의 협력체계부터 빨리 구축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날 회의를 통해 도출된 정책 방향은 3가지로 ▲부산 신중년 일자리 허브 기관 구축 ▲신중년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 확충 등 경제활동 참여 유도 ▲‘50+ 신중년 재기 복합타운’ 조성이다. 먼저 신중년 일자리 허브 기관은 기존 부산시의 중장년 일자리 희망센터 등 28개 관계기관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할 허브 기능이 부재해 새로 확고히 조성한다는 것이다.
또 신중년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 확충 등을 위해 시는 시의회와 충분한 논의와 협조를 구해 추경예산 총 20억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사회 서비스형 일자리 ▲취업 알선형 일자리 ▲시장형 일자리 ▲부산형 신중년 고용장려금 지원 4가지 사업을 추진해 총 700명의 신중년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50+ 신중년 재기 복합타운’은 생애주기별 복지 지원정책에서 소외된 신중년의 욕구에 맞는 종합지원을 하는 시설로 일자리뿐 아니라 여러 사회활동에도 참여를 지원하는 시설이다. 박형준 시장은 “특히 신중년 지원의 경우, 현장과 동떨어진 정책은 결코 실효성을 거둘 수 없다”며 “신중년과 관계기관 등 정책 당사자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통로를 항상 열어놓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