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동아대 석당박물관 소장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 보물 제2080호 지정

선조 시대 공신 상회연 그린 기록화, 17세기 회화 양식 규명에 중요한 기준작품

  •  

cnbnews 손민지기자 |  2020.11.02 15:55:02

보물 제2080호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 (사진=동아대 제공)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은 소장품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新舊功臣相會題名之圖屛風)’ 1좌(4폭)가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2080호로 지정됐다고 2일 밝혔다.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은 선조 연간(1567~1608) 공신 관련 그림으로 제작시기가 명확해 연도를 알 수 있는 작품(기년작)이 드문 17세기 회화 양식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기준작품이 된다.

녹훈(錄勳, 공훈이 있음을 기록)된 구공신(舊功臣, 전(前)왕 때 공신 칭호를 받은 사람)과 신공신(新功臣)들이 1604년(선조 37) 11월 충훈부(忠勳府, 조선시대 공신에 관한 사무를 관장했던 관서)에서 상회연(相會宴, 공신들의 모임)을 진행한 장면을 그린 기록화다.

4폭으로 구성된 작품으로 왼쪽 제1폭은 상회연 장면을 그렸고, 제2폭~제3폭에 걸쳐 참가자들의 명단을 기록했으며, 제4폭은 제목을 제외하고 내용은 비어 있다.

각 폭은 비단 2쪽을 위에서 아래로 길게 이어 붙였으며, 제2폭부터 제4폭까지 위쪽에 붉은 선을 그어 구획을 하고 전서체로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新舊功臣相會題名之圖)’라는 제목을 썼다.

그림에 있는 공신들의 숫자와 실제 회맹제(임금이 공신들과 산 짐승을 잡아 하늘에 제사 지내고 그 피를 서로 나눠 마시며 단결을 맹세하던 의식) 참석자가 58명으로 일치한다. 위에서 내려 본 부감시(俯瞰視)로 특징만 포착해 선묘로 간략하게 그린 특징은 17세기 기록화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

또 원경의 눈 덮인 설산(雪山)과 앙상한 나뭇가지 표현은 상회연 개최 시기가 음력 11월 상순이라는 계절감을 전달해 주며, 그 필치가 매우 세밀하고 단정하다.

김기수 석당박물관장은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은 공신 관련 그림으로, 원본의 상태가 양호해 역사적,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매우 빼어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또 “현재 우리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유물에 대한 학술연구와 더불어 코로나19 위기상황과 관련한 정부와 학교 방침에 따라 안전한 전시환경으로 단계적 개방을 준비해 시민들의 문화수요 충족에 기여하도록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