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과기부 5년간 1만2554건 사이버공격 발생…보안요원은 68명?

  •  

cnbnews 김성훈기자 |  2020.10.03 10:35:18

(자료=허은아 의원실)

사이버공격을 방어하는 보안요원의 충원과 인력수급 계획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허은아 의원(국민의힘)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과기정통부 및 소속‧산하기관에 대한 사이버 공격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해마다 사이버공격 건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사이버보안요원은 68명에 불과해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간 사이버공격 건수는 총 1만2554건으로 2016년 1791건, 2017년 1113건이었으나 2018년부터 2456건, 2019년 5127건 등 전년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특히, 2019년 한해 발생 공격건만 지난 5년간 전체 공격 건수의 40.8%에 달할 정도로 치솟았고, 올해는 5월말 기준 이미 작년 전체 발생공격건수의 절반에 가까운 2067건의 사이버공격이 발생했다.

과기부를 대상으로 사이버공격을 시도하는 국가도 점차 다변화되고 있다.

2016년 및 2017년은 각 1576건, 811건으로 국내발생 공격 빈도가 가장 높았던 반면, 2018년 ▲중국(912건) ▲기타국가(334건) ▲유럽(307건) ▲미국(233건) 및 아시아국가(264건), 2019년 ▲기타국가(2147건) ▲중국(1453건) ▲미국(493건) ▲아시아(287건) ▲유럽(208건)으로 중국 빈도는 줄어드는 추세인 반면 다른 국가에서 증가하면서 공격국가가 다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사이버 공격 유형도 단순 바이러스 감염에서 기관의 자료유출 및 훼손으로 위험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지만 전문 전담인력은 크게 부족한 것으로 파악됐다.

과기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사이버안전센터,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 우정사업사이버안전센터 등 3개의 사이버안전센터에서 총 68명의 보안전문 전담인력이 사이버공격·분석·대응 등에 24시간 실시간 보안관제를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교대근무, 개인사정 등 인원이 비는 경우를 고려할 때 실제 관제하는 인원은 현저히 줄어든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과기부는 사이버공격 증가 추이 등 보안 환경을 감안해 전담인력 확충을 검토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허은아 의원은 “21세기는 지식과 정보의 시대로서 연구성과와 중요 자료를 보유한 과학기술 기관에 대한 사이버공격은 더욱 잦아지고, 다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국가안보와 미래 가치 창출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다양화 하는 공격을 막아내는 핵심은 사이버 보안요원인데 국가적으로 오랜 시간 양성해야 충원 가능한 인적자원인 만큼 과기부는 지금이라도 보안요원 충원 장·단기계획을 수립해 국가정보를 지키는데 빈틈이 없도록 해야한다”고 촉구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