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항만공사(이하 UPA)는 2020년 8월 울산항에서 처리한 물동량은 총 1487만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4%(250만톤↓) 감소했다고 밝혔다.
액체화물은 1235만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4% 감소(240만톤↓)했으며, 전체 물동량 중 비중은 83.1%다. 원유는 495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608만톤) 대비 18.5% 감소(113만톤↓)했으며, 석유정제품은 503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602만톤) 대비 16.5% 감소(99만톤↓)했다.
화학공업생산품은 169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189만톤) 대비 10.2% 감소(20만톤↓)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수송용 연료, 정제마진 하락세 지속 및 글로벌 수요 감소에 따라 석유정제품 품목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일반화물은 252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262만톤) 대비 4.0% 감소(10만톤↓)했다. 차량 및 그부품은 76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98만톤) 대비 22.4% 감소(22만톤↓)했다.
방직용섬유는 24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20만톤) 대비 18.1% 증가(4만톤↑)했으며, 철강 및 그제품은 11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16만톤) 대비 34.4% 감소(5만톤↓)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합성수지류(고무, 섬유 등) 위생방역 물품의 수출이 증가하는 추세나, 해외 자동차 공장 정상화 지연에 따른 차량 부품 품목 수출 감소, 제조업 침체 영향으로 일반화물 물동량 감소세를 보인다.
컨테이너는 47,335TEU를 처리해 전년 동월(44,795TEU) 대비 5.7% 증가(2,540TEU↑)했다.
적 컨테이너는 26,826TEU를 처리해 전년 동월(27,062TEU) 대비 0.9% 감소(236TEU↓)했으며, 공 컨테이너는 20,509TEU를 처리해 전년 동월(17,733TEU) 대비 15.7% 증가(2,776TEU↑)했다.
UPA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와 에너지 전환 기조에 따라 글로벌 석유 수요 회복이 지연되면서 울산항의 액체화물 물동량 감소세가 지속하고 있다”며 “코로나19 확산세 지속으로 당분간 수출입 물동량 감소세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