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지역 산업, 올 상반기 대체로 부진… 유동성 위기 업체 지원 필요

부산연구원 경제동항분석센터 ‘2020 상반기 주요 산업 동향’ 발표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09.21 15:25:11

부산항 컨테이너 처리량 월별 추이 (자료제공=해양수산부)

올 초 시작된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며 국내 주요 산업의 경기가 부진하며 특히 부산지역 산업의 생산과 수출도 차질을 빚고 있어 긴급 금융지원 등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됐다.

부산연구원 경제동향분석센터는 21일 BDI 산업동향브리프 ‘2020 상반기 주요 산업 동향’ 보고서를 발표하고 산업별 시사점을 제시했다.

먼저 자동차산업은 개별소비세 인하, 신차 효과 등에 따라 내수는 상반기 증가했지만 수출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년동기대비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지역 완성차 업체는 신차 판매 호조로 내수는 51.3% 증가했으나 수출은 되려 74.8%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조선산업은 상반기 수주가 전년동기대비 68.1% 감소했으며 수주잔량도 전년동기대비 2.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국내 조선업 수주 시장점유율은 18.6%로 전년동기대비 8.5%p 감소한 반면 중국은 정부 차원의 선박 투자로 상반기 수주 점유율이 지난해 35%에서 올해 61.4%로 크게 늘었다.

철강산업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자동차, 조선 등 주요 전방산업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주요 철강제품의 가격이 크게 떨어지는 현상을 빚었다. 또 철광석 가격 상승과 일본산 덤핑 물량이 지속 유입하고 있어 내수와 수출 모두 부진세가 이어지고 있다.

해운산업은 컨테이너선 공급 조절과 중국 경기부양책에 따른 철광석 등 원자재 수요 증가로 운임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조선 운임은 원유 수요 감소에 대처하기 위해 산유국들이 감산을 지속하고 있어 부진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올해 상반기 완성차 생산기업 업체별 내수 동향 (자료제공=한국자동차산업협회)

이에 대해 보고서는 “자동차산업은 친환경차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어 지역 부품업체들이 내연기관차 부품에서 친환경 부품 생산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며 “최근 2~3년간 글로벌 자동차 산업 불황에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지역 자동차업계가 매출 절벽 등을 맞아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해 있어 다양한 금융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또 조선산업에 대해선 “친환경과 자율운항시스템 선박 등 고부가가치 선종의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분석하며 “지역 조선기자재 업체는 유동성 애로가 심각한 상황에 놓여 현 시행 중인 유동성 지원제도의 원활한 집행과 수혜도 향상을 위한 지침의 차별화 조치가 필요하다”고 꼽았다.

철강산업에 대해선 “자동차, 조선 등 전방산업의 수요 부진과 철광석 가격상승 등으로 불황이 이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며 “대한제강이 YKS를 인수해 철근업계 2위권 기업으로 도약함에 따라 지역 철강산업에 시너지 효과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때문에 관련 철강산업을 활성화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해운산업에 대해선 “중국의 대규모 인프라 사업 시행과 소비가 급증하는 연말을 앞두고 3분기 회복세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중국은 정부 주도로 해운산업 성장이 이뤄져 성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하며 “상반기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한 HMM의 경우 해양진흥공사 지원 등의 영향이 컸다. 이런 점을 고려해 지역 해운산업 회복을 위해 부산의 해운선사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연구원 이미정 경제동향분석위원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지역 대부분의 업종이 부진을 보이고 있다. 또 매출 절벽으로 유동성 애로가 심각한 상황이어서 다양한 금융지원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특히 기존 지원책 중에는 한도 소진으로 지원이 되지 않거나 낮은 신용등급으로 지역 영세업체의 유동성 지원 수혜도가 낮은 점을 고려해 이의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부산지역의 자동차, 조선 등의 산업이 친환경 제품 생산으로 패러다임이 전환하며 부품 수요도 변화하고 있다”며 “이에 지역 부품업체들의 혁신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기했다.

 

올해 상반기 조선산업 수주량 글로벌 및 한국 비교 그래프 (자료제공=클락슨)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