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원섭기자 |
2020.07.15 10:35:23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의 장례 기간 잠정 중단됐던 더불어민주당 8·29 전당대회 레이스가 재개되면서 이낙연-김부겸 후보간의 치열한 당권 경쟁이 재개됐다.
특히 박 시장의 성추행 의혹, 내년 4·7 재보선 공천 등 민감한 현안들이 등장한 가운데 이낙연 의원은 입장 표명에 신중 기조를 이어갔으나, 김부겸 전 의원은 보다 선명한 발언들을 내며 추격에 나선 모습을 보이는 등 후보 간 경쟁이 다시 달아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 이 의원측 한 핵심 측근은 15일 오전 CNB뉴스와의 통화에서 박 시장 성추행 의혹과 관련, “이 의원이 이번 박 시장 사안을 계기로 근본적이고 획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면서 “곧 당에서 정리된 입장을 낼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반면 김 전 의원은 전날 한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박 전 시장 의혹과 관련해 “(피해 호소) 당사자가 그렇게 주장할 권리는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법적 주장인지, 심정 표현인지는 조금 판단을 해봐야 할 것 같다”고 언급했다.
특히 내년 4월 7일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의 판이 ‘미니 대선급’으로 확대되면서 전대의 돌발 변수로 등장한 상태다. 따라서 차기 당 대표의 재보선 '역할론'이 쟁점이 될 전망이다.
일단 역할론에 있어서는 이 의원 쪽이 부담이 더 크다. 차기 당 대표가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 내년 3월 초 중도사퇴 해야 한다는 점에서 여권이 1위 대권 잠룡인 이 의원의 경우, 재보선 역할론에 한계가 지적되기 때문이다. ‘대표 궐위’ 상태에서 4월 재보선을 치르거나, 임시 전대를 열어 새 대표를 선출해야 한다는 점에서다.
당 일각에서는 차기 당 대표가 3월에 사퇴할 경우, 2월 말 임시 전대를 열어 대표 공백이 없게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벌써부터 나온다.
이에 김 전 의원 측은 이 점을 쟁점화해 이 의원을 압박하고 있다. 당대표 임기를 지킬 수 있는 자신이 재보선을 책임질 적임자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의원 측은 당 대표가 돼서 중도사퇴 하더라도 사퇴 시점이 당의 재보선 후보를 공천한 이후여서 큰 문제가 없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당 대표에서 물러나도 재보선 과정에서 선대위원장 같은 책임 있는 역할을 맡을 수도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당 대표가 되면 2년 임기를 채우겠다고 공언한 김 전 의원 측은 "재보선을 한 달도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 당 대표를 사퇴한다는 것은 굉장히 무책임한 이야기다. 공천은 해놓고 선거 관리는 하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당 대표라면 임기를 채우는 게 정상이지, 선대위원장을 맡아서 책임을 다할 수 있다는 것은 ‘땜빵식’ 논리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CNB=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