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없는사회 “복무 기강 통한 안전확보 필요”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이하 학벌없는사회)이 22일 광주시교육청은 ‘복무기강을 확립’하고 ‘모든 국외연수 관련 예산을 반납하라’고 촉구했다.
이는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맹위를 떨치는 가운데 광주시교육청이 예정돼있던 일부 국외연수·출장(이하, 국외연수)을 취소하지 않고 강행하는 등 안일하게 대처한 것을 지적한 것이다.
학벌없는사회가 광주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 및 국외출장연수정보시스템에 등록된 국외연수보고서를 점검한 결과, 코로나19에 대한 경각심이 극도로 고조되던 시기인 지난 2월16일 ~ 같은 달 24일에 광주시교육정보원 직원 5명이 ‘교육정보화 지원사업 추진 사전답사’를 위해 아프리카 탄자니아에 다녀온 것으로 확인됐다.
학벌없는사회는 “세계적 돌림병이 심각하고 모든 국민이 극도로 긴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기관은 더욱 솔선수범하는 것이 마땅하다. 국외연수를 삼가고, 엄정하게 심사했어야 하는데도 광주시교육청 공무국외여행심사위원회는 탄자니아 국외출장을 승인했다”면서 “더구나 출장자 수를 최소화하기는커녕 기관장 동행을 강행했으며, 귀국 전 하루 문화체험 등 현지 관광을 즐긴 것으로 드러났다”고 폭로했다.
그러면서 “이는 대다수 지방자치단체, 의회 등 공공기관에서 올해 국외연수 관련 예산을 전액 반납하는 상황과도 대비된다”면서 “코로나19 위기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국외연수 중인 사람, 국외연수를 마치고 복귀한 사람들에 대한 조치도 적절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학벌없는사회는 “관내 초등 영어교사 40여 명은 1달 동안 영국에서 국외연수를 다녀온 후 지난 2월 6일 예정대로 귀국했고, 광주시교육청 일부 전문직들도 영국, 이탈리아, 핀란드, 덴마크 등 유럽으로 국외연수를 다녀와 지난 2월 중 귀국했으나 재택근무, 공가 등 사후 조치를 하지 않은 채 근무했다”면서 사후 조치에 따른 부적절도 주장했다.
학벌없는사회는 “광주시교육청 관계자는 ‘코로나19가 대구만큼 심각하지 않은 시기였다. 연수자 확진이나 발열, 호흡기 증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등 해명을 내놓고 있지만, 이는 초기 예방의 중요성을 몰랐다는 고백에 불과하다”고 비난했다.
학벌없는사회는 “복무지침 이행 여부를 확인해 교육기관의 안전을 보장하고, 올해 예정된 불급한 모든 국외연수를 취소, 관련 예산을 반납하거나 교육재난지원금, 취약계층 교육·생활비로 전용하라”고 광주시교육청에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