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참모들에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한국에 대해 입국제한 조치를 취하는 나라들을 대상으로 건강상태 확인서를 소지한 기업인의 경우 예외적으로 입국을 허용하는 방안을 외교채널로 협의해보라고 지시했다”고 청와대 강민석 대변인이 10일 기자들과 만나 전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코로나19 음성이라는 점을 증명하는 건강 상태 확인서를 발급받은 사람이 예외입국 대상이 될 것”이지만 ‘협의대상 국가에 일본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국가와 협의를 진행할지는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그리고 이 관계자는 “정부와 문 대통령의 입장은 해당 국가의 감염차단조치를 존중한다는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한국의 방역 역량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외신 보도가 많고, 신규 확진자 숫자도 8일 248명, 9일 131명으로 감소세에 들어왔다는 점 등을 설명하면 긴급출장이 불가피한 기업인의 경우 예외적으로 입국을 허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관게자는 “지난 6일 문 대통령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의 통화에서도 문 대통령은 기업인 상호방문의 경우 양국 협력에 매우 중요한 만큼 정부가 발행한 건강증명서를 제시하면 입국을 허용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 관계자는 “일단 기업인에 대한 예외적 허용조치를 협의할 예정”이라면서도 “예단은 금물이지만 신규 확진자 수가 131명으로 줄어든 상황이기 때문에 범위를 확대하는 것도 서서히 협의할 수 있지 않겠느냐”라고 예측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이탈리아 등을 상대로 입국 제한 조처를 할 계획이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탈리아는 한국인에 대해 입국을 제한하지 않고 있다”며 한국 정부 역시 조치 계획이 없다는 뜻을 내비지면서 “코로나19 대응 원칙 중 하나가 국제연대이지만 내국인 감염에 위협이 우려되는 나라에 대해서는 특별입국절차를 이미 마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