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02.06 14:23:40
부산시 남구에 총 470여억원이 들어가는 대규모 예산 사업인 오륙도선 ‘트램’에 대해 시가 선심성 홍보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현성 부산 남구을 예비후보(자유한국당)는 최근 남구의회에서 제기된 문제점과 다수 지역민의 의견을 종합한 결과, 지역 여론이 트램에 대해 긍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김현성 예비후보는 “트램이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연구실적 축적을 위한 ‘실증사업(테스트 사업)’이란 사실과 최소 2~3개 차선 축소, 중앙분리대 화단·자전거전용도로 철거 사실을 대다수 주민이 모르고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예비후보는 “이같은 사실은 사업목적에 대한 대 시민 인식이 현저히 낮고 또 주요 교통규제 사항이 시민에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결국 이는 행정기관이 갈등요인을 방치한 결과라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특히 경성대역~교통방송 구간은 트램과 보행전용도로로 운영되고 노선버스, 택시 등 다른 교통수단은 이용할 수 없다는 사실과 이기대공원 입구에 차량기지가 조성된다는 것도 상당수 주민이 모르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김 후보는 밝혔다.
이에 김 예비후보는 “대부분의 주민이 예산 규모를 모르고 있다는 것은 자칫 ‘졸속행정’과 ‘날림 예산집행’을 방기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혈세 집행에 가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동원해 감시할 것이다. 부적절한 집행이 발견될 시 제도적, 정치적, 법적 조치 등을 취해 국민 권익을 보호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트램은 한 번 가설되면 돌이키기 어려운 사업인 만큼 가설 전에 정확한 타당성 검증을 거쳐야 한다.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오직 남구 주민의 권익과 남구 교통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가설되길 바란다”며 “제대로 된 트램 가설을 위해 가설 전 교통체증·안전에 대한 실증, 자료 수집 등을 할 필요가 있다. 유사 시범차량을 이용해 가설 구간을 직접 운행해 보는 등 동일 조건의 시뮬레이션을 당장 시행해야 한다”고 시에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