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가 차세대 에너지 선도도시로서 지역 거점형 복합에너지 공급 허브 구축 및 하이브리드형 연료전지 개발에 중심축으로 급부상 하고 있다.
시는 5일, 시청 접견실에서 한국가스공사와 ‘지능형 통합 에너지 플랫폼 기반 복합에너지 허브 구축 및 기술실증’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사업은 한국가스공사가 산업통상자원부의 ‘2019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정부·공기업 에너지R&D 협력사업’에 선정돼 추진하는 것으로 오는 2022년까지 국비를 포함 총 215억2500만 원이 투입된다.
주요 사업으로는 1.5MW급 TEG-연료전지 복합에너지 공급 허브 구축 및 운영, 수소-전기차 융·복합충전소 설치 및 운영, 400KW급 하이브리드형 연료전지 개발, ICT기반 마이크로그리드 구성 및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 등이다.
TEG-연료전지 복합발전이란 천연가스 공급압력을 낮추는 감압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고 연료전지에서 생산되는 배열을 천연가스 예열에 활용하는 등 미활용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기술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생산된 전력은 약 500세대에 공급이 가능하다.
여기에 ICT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즉 소규모 단위로 에너지의 공급과 수요가 관리되는 지역 에너지 정보망 구축 기술이 더해지면서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이 가능케 된다. 또한 , 전력, 수소, 열 등을 활용한 하이브리드형 연료전지의 개발로 관련 산업들의 동반성장까지도 꾀할 수 있다.
이에 시는 이번 실증사업이 성공할 경우 탈 원전을 꾀하는 현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지원하고 향후 수소 시범도시 조성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이번 사업은 화성시,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기술, 한국가스안전공사, 전기연구원, 인하대학교, 두산퓨어셀 등이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