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용인시, '노인복지통계보고서' 발간

경제와 건강이 노인문제 1·2위 차지, 주 소득원은 공‧사적연금·퇴직금

  •  

cnbnews 이병곤기자 |  2019.01.15 16:36:13

용인시 노인가구의 56.6%는 월평균 200만 원 미만의 소득으로 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또 경제와 건강을 가장 큰 노인문제로 꼽았고, 주요 지출항목 가운데 보건·의료비 지출에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집계됐다.

 

용인시는 15일,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관내 노인의 인구와 소득, 주택, 건강관리, 복지, 일자리, 사회참여, 안전 등 9개 분야 100개 항목을 분석한 ‘2018년 용인시 노인복지통계보고서’를 발간했다.

 

통계보고서에 따르면 용인시 노인가구 중 월평균 소득 100만 원 미만은 30%나 됐다. 또 100만~200만 원 미만이 26.6%, 200만~300만 원 미만 18.9%, 300만~400만 원 미만 9.9%, 400만~500만 원 미만 7.1%, 500만 원이상 7.5%로 나타났다.

 

지난 2017년말 관내 노인취업자는 2만5000명(고용률 21.8%)이며 직업은 농업이 54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사업지원서비스업(4700명), 사회복지서비스업(1100명), 기타 개인서비스업(900명),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서비스업(800명) 등의 순이었다.

 

노인가구의 주 소득원은 공·사적연금과 퇴직금이 32.7%로 가장 많았고, 가구주의 근로(사업)소득이 22.9%, 재산소득은 20.4%였다. 이어 정부보조금(11%) 친인척 보조금(10%) 배우자 및 기타 가구원 소득(3%)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가구 소득에서 정부보조금이 차지하는 비율은 80세이상에선 23.7%나 됐고, 75~79세 11.7%, 70~74세 11%, 65~69세 1.4%로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정부보조금 의존도가 높았다. 또 노인인구의 공적연금 가입 비율은 6.5%에 불과했다. 45.5%가 기초연금을 받는 것으로 집계돼 전반적으로 노후준비가 크게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노인가구의 주택소유율은 70.9%로 시 평균 주택소유율(60%)보다 높았다. 또 주택을 소유한 노인 가운데 66.7%는 1건만 소유했으며, 33.3%는 2건 이상을 소유했다.

 

소득이 적다보니 보건·의료비 지출에 부담을 느끼는 노인이 많았다. 가장 부담스러운 지출을 묻는 질문에 노인가구의 42.5%가 보건·의료비를 꼽았고, 다음으로 식료품비(17.9%)와 주거비(16%)라고 응답했다.

 

용인시 노인들은 또 노인문제의 첫 번째로 경제(40.8%)를 꼽았다. 다음으로 건강(35.6%)을 들었다. 이어 외로움·소외감(9.1%), 복지(4.1%), 효나 경로의식 약화(3.4%), 직업(3.2%), 여가활용(2.1%) 순이라고 응답했다.

 

우선 지원해야 할 노인복지사업으로 이들은 28.9%가 건강검진을 꼽았고 이어 간병·목욕(22.5%), 가사서비스(12.7%), 취업알선(12.3%), 여가활동(11.5%) 등을 들었다. 이야기 상대(4.6%)나 식사제공(4.2%) 등을 꼽은 응답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노인의 만성질환 진료인원 비율은 고혈압이 51.5%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당뇨병(23.6%), 신경계질환(21.3%), 정신 및 행동장애(21.0%) 순이었다. 또 노인의 교통사고는 연중 9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고, 요일은 월요일, 시간대는 오전10~12시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민등록 기준 2013년말 9만3099명이던 용인시 노인인구는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7년말 11만6882명이 됐다.

 

이 기간 중 노인인구 비율은 9.9%에서 11.6%로 늘었다. 같은 기간 용인시 전체인구 증가율이 6.6%인 반면 노인인구 증가율은 25.5%여서 노인인구 비율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번 통계는 2017년말 용인시에 등록된 65세이상 시민 11만6882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용인시 사회조사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지역별고용조사 등 행정자료를 원천자료로 연계․결합해 작성했다.

 

시는 이번 통계보고서를 관내 노인의 복지수준 파악과 인구구조 변화에 대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행정기관이 보유한 각종 통계를 취합하고 분석·가공해 시정 전반에 걸쳐 통계를 기반으로 한 정확한 정책수립이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