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기도 2층버스, 올 상반기까지 포천·양주 등 14개시 41개 노선 확대

당산역 충돌사고 원천 차단, 운송업체 대상 주기적 안전점검 추진

  •  

cnbnews 이병곤기자 |  2018.01.28 13:01:29

경기도가 ‘안전하고 편리한 출퇴근 길’을 만들기 위해 도입한 ‘2층 광역버스’가 올 상반기 포천, 양주 등까지 확대된다.

28일 경기도에 의하면, 이번 확대도입에 따라 도내 2층 버스 운행대수는 기존 12개 시 30개 노선 93대에서 2018년도 상반기 14개시 41개 노선 143대로 늘어나게 될 전망이다.

현재 도내에는 수원 15대, 성남 3대, 안산 6대, 남양주 13대, 파주 7대, 김포 21대, 용인 14대, 하남 6대, 시흥 2대, 고양 2대, 광주 2대, 화성 2대 등 12개 시에서 30개 노선 93대가 운행 중이다(2018년 1월 24일 기준).

경기도는 올 상반기 까지 수원 10대, 성남 3대, 안산 2대, 파주 4대, 김포 15대, 용인 12대, 시흥 2대, 양주 1대, 포천 1대 등 9개 시에 50대를 추가 도입을 추진한다. 이중 포천시와 양주시는 2층 버스가 처음 도입되는 지역이다. 경기도는 향후 50대를 더 확대해 2018년 말까지 193대를 운행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는 이번 2층 버스 확대도입이 도내 광역버스 입석 문제 해소와 출퇴근 편의 증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실제로 도가 지난 2017년 11월 2층버스 이용자 6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층버스 만족도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81.3%가 ‘만족한다’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대도입의 필요성 역시 전체 응답자의 90.3%가 공감을 평했고, 실제 2층버스 투입노선 입석율의 경우에도 2016년 3월 10.3%에서 2017년 3월 5.7%로 절반 이상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도는 2층 버스 추가도입에 맞춰 안전대책 강구에도 힘쓴다. 이를 위해 마련된 ‘2층버스 안전관리대책 및 매뉴얼’을 기초로 운행관리에 힘쓰고, 2층 버스 전담 운전기사 배치 정착과 함께 상·하반기별 운송업체 안전점검 및 안전교육 등을 벌일 방침이다. 

특히 당산역 고가하부 충돌사고로 운행이 중단된 김포 8600번 2층버스 및 경로를 우회 운행하는 8601A번 노선의 경우, 영등포구청, 영등포경찰서 등과의 협의를 통해 고가철로 하부 주행 구간이 없는 경로로 노선을 변경하기로 결정했으며, 사고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올 3월 까지 개선 공사를 완료한 후 운행을 재개할 방침이다.

홍귀선 경기도 교통국장은 “2층 버스에 대한 도민들의 기대와 만족감이 큰 만큼, 안정적인 도입을 위해 국비확보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매년 50~100대를 추가 도입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