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 10명 가운데 4명은 하루 6시간 이내 수면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9일 김병욱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6년 학생 건강검사에 따른 것.
전국 765개 표본학교 학생 8만2883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9월 조사한 것으로 하루 6시간 이내 수면율은 초등학생 3.04%, 중학생 12%였지만 고등학생은 43.91%가 하루 6시간 수면을 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자 고등학생의 6시간 이내 수면 비율이 35.6%인데 비해 여자 고등학생은 절반 이상인 52.99%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하루 6시간 이내로 수면을 취하는 고등학생의 비율은 대전이 61.61%(남학생 59.67%·여학생 63.73%)로 가장 높았고 경북 50.45%, 부산(49.21%), 서울(48.90%), 제주(48.56%) 순이었고 인천이 가장 낮은 34.49%(남학생 20.93%, 여학생 49.26%)였다.
6시간 이내 수면 비율은 여학생이 높았지만 제주지역만 유일하게 6시간 이내로 자는 남학생의 비율(48.93%)이 여학생(48.16%)보다 소폭(0.77%포인트) 높았다.
김병욱 의원은 “학업과 입시에 대한 부담으로 고등학생 절반 가능이 6시간 이하의 수면을 하는 것이 안타까운 우리의 교육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청소년기에 수면이 부족하면 건강은 물론 학업 성적과 주의력에도 오히려 좋지 않을 수 있기에 자정까지 운영하는 무리한 야간자율학습이나 의무적 0교시 운영 등은 가급적 자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