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관광안내소 안전용품 미비치 ‘심각’…서울 72% 휴대폰 충전서비스 없어

  •  

cnbnews 김성훈기자 |  2017.10.06 11:29:17

▲관광안내소 서비스 운영 현황. (자료=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전국 관광안내소의 절반 가까이가 소화기·구급약품 등 안전용품을 비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국 안내소 10곳 중 8곳에서 휴대전화 충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서울지역 안내소의 경우 10곳 중 7곳은 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다.

6일 김병욱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문화관광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관광안내소 평가 결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334개소 중 안전용품을 비치하지 않은 곳은 49%, 165곳이었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 39%(18개소 중 7개소) 경기 79%(38개소 중 30개소), 인천 92%(12개소 중 11개소) 등 전체의 71%가 안전용품을 비치하지 않았다.

휴대폰·태블릿 등 전자기기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81% 271개소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서울은 72%(18개소 중 13개소)에서, 광주광역시는 모든 안내소에서 충전서비스를 제공치 않았다.

수화물보관 서비스는 전체의 61%에서 제공하고 있는데 대구는 6곳 중 1곳(17%), 충남은 15곳 중 4곳(27%), 전남은 50곳 중 18곳(36%)에 그쳤다.

안내소 중 311곳은 지자체, 17곳은 한국여행협회, 6곳은 한국관광공사가 운영하고 있는데 안내소 한 곳의 평균 인력은 3.8명으로 정규직·비·정규직·자원봉사자가 각각 1:1:2명으로 구성돼 있고, 1년에 평균 346일을 근무하는 격무에 시달리고 있어 처우개선과 휴식시간 보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안내소 방문객 중 내국인은 85%, 외국인은 영어권과 중화권 이용자가 각각 5% 내외, 일본인 2.5%, 기타 2.3%로 나타났는데 사드배치의 영향으로 무슬림이나 동남아 7개국으로 외래 관광객을 다변화하려 하고 있지만 영어·일어·중국어 이외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직원은 극히 드문 것으로 확인됐다.

김병욱 의원은 “관광산업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여서 만들어 나가는 네트워크 사업의 결합체이기 때문에 관광안내소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투자가 우선 필요하다”며 “무슬림이나 동남아 관광객을 위한 언어 서비스 제공 등 방한 관광객 다변화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관광안내소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