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북부권 5개 읍면 종합발전계획 용역착수보고회 장면(사진= 김포시)
김포시는 10일 김포시청 대강당에서 한강신도시 등에 비해 낙후된 김포북부권 5개읍면(양촌읍,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 통진읍)의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김포북부권 5개 읍면 종합발전계획 용역은 입찰을 통해 '한국공공자치연구원'이 1억 1100만원의 예산으로 선정됐으며, 1단계 용역은 2018년에서 2019년, 2단계는 2019년에서 2022년까지 총 5년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이날 착수보고회에는 용역사 외에 이홍균 부시장, 김병화 기획예산과장 등 시청 관계자와 김준영 서경대 교수, 심상연 양촌읍장 등 북부지역 읍면동장, 이진민 시의회 부의장, 신명순 의원, 황순호 의원, 지역언론인 김동규 김포신문 편집국장 등이 참석했다.
중장기발전계획 자문위원과 북부지역 읍면장들이 지역현안과 정책의견을 용역사에 제안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는데, 김병화 기획예산과장은 “오늘 자리는 용역사의 설명 보다는 우선 지역의 의견들을 중점적으로 듣기 위해 마련됐다"며 "현장조사와 주민 공청회가 빨리 열려야 하지만 5월 9일 대통령 선거 이후에 마련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에 따르면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지역주민 간담회나 공청회를 12회 이상 진행할 예정이며, 현장답사를 중심으로 주민의 의견을 반영하는 협의를 통해 탁상공론식 용역이 아닌 현장중심의 용역을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포북부지역 읍면동장 "주민들의 소외감과 개발욕구 커"
북부지역 읍변동장들은 주민들이 신도시 등에 비해 소외감과 개발욕구가 크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발전계획에 더해 각 지역별 역사성과 동질감의 유지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심상연 양촌읍장은 “구래, 마산동의 경우 담 하나로 신도시와 구도심이 갈린다"며 "담 하나 사이의 소외 문제를 고민해야 한다”면서 “골목상권의 부활도 필요하고 산업단지로 교통이 좋아지면서 인천으로 가는 딜레마에 대한 유인정책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두춘언 대곶면장은 도로로 지역이 단절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지역의 역사와 특성을 살려야 한다"며 "인위적인 단절이 아닌 연결, 발전의 축이 되는 개발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창모 월곶면장은 “원주민과 새로운 주민 간 갈등 해결책을 강구해야 한다. 군사 규제를 피하는 개발계획을 세우고 주민 복지도 구상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용업 하성면장은 “자연경관은 좋은데 규제로 개발이 안 돼 주민들의 불만이 있다”면서 “시대적으로 안보와 평화가 부각되고 있다. 월곶과 하성을 연결하는 접경지역 평화 엑스포 정책 건의를 마련 중이다. 접경지역을 활용한 개발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포시의원 "김포면적의 70%이상이 북부...균형발전 이뤄야"
용역착수보고회에 참석한 김포시의회 의원들은 신도시 등 인접 지역들과 연계한 발전 방안 마련과 주민 의견 반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진민 의회 부의장은 “인구는 적지만 김포 면적의 70~80%가 북부지역이다. 김포의 미래는 북부권에 있다”면서 “계획관리지역, 공장 난개발 등 민원이 많다. 그런 것들이 발전계획에 포함돼야 하고 어려운 점이 있더라도 주민과 대화해서 줄여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황순호 의원은 “우리 김포시는 도농복합도시로 성장통을 겪고 있다. 5개읍면 각각의 역사적 배경이 다 다르다”면서 실질적인 연구용역을 주문했다.
신명순 의원은 “용역이 북부권에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면서 “신도시는 교육시설이 부족하지만 5개읍면은 남는다. 양촌이나 통진으로 교육이 확장 되는 등 상호 연계를 생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도시와 농촌을 연결하는 상설 전통시장이 양촌과 통진에 만들어지면 신도시와 5개읍면이 만날 수 있다”면서 “자연경관이 우수한 곳은 생태적으로 발전시켜나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준영 교수 "조만간 2035도시기본계획 나와...소프트웨어 계획해야"
김준영 서경대학교 교수는 지극히 현실적인 용역을 주문했는데 "조만간 '2035도시기본계획'이 나온다. 이번 북부권발전계획은 도시계획이 아니다"라며 "물리적인 게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계획을 담아야 한다. 1년 남짓 기간 동안 꼭 필요한 것을 담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그러면서 “기존 도시계획과 다른 차원의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과 서울시의 대학 캠퍼스 타운화처럼 공장들을 활용한 계획, 콤팩트한 마을만들기 등 법적인 도시계획과 중복되는 하드웨어 용역이 아닌, 예산이 많이 들어가는 장밋빛 계획 아닌, 바로 실행할 수 있는 계획, 스피드하게 실천할 수 있는 계획이 되어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실효성 있는 조사를 위해 주민 접촉을 늘리고 지역의 전문가를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김동규 김포신문 편집국장은 “탁상공론 용역이 아니라 현장감이 있어야 실효성이 담보 된다”면서 “단순히 산업단지를 몇 개 조성하는 것이 아니라 주민과 전문가를 만나는 등 마을 단위별 소프트웨어를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홍균 부시장은 “관광자원이 모두 북쪽에 있는 등 우리 김포 발전의 가능성이 몰려있는 곳이 북부지역”이라면서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산업입지기본계획과 한강하구 평화특구 용역과 연관 검토하고 실질적으로 활용 될 수 있는 용역이 돼야한다”고 말했다.
CNB뉴스(김포)= 김진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