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원섭기자 |
2017.03.03 16:15:54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 대표는 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자신의 탈당설과 관련해 “탈당이라는 것은 어느 시점에서 내가 판단해 (결심을) 하면 (탈당)하는 것이고, 안하면 안하는 것”이라며 “헌재의 탄핵 결정이 끝나고 나면 새로운 정치적 분위기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런 것들을 다 참고를 해야지 무슨 결심이든 할 것 아닌가”라고 부인했다.(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 대표는 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자신의 탈당설과 관련해 “탈당이라는 것은 어느 시점에서 내가 판단해 (결심을) 하면 (탈당)하는 것이고, 안하면 안하는 것”이라며 “헌재의 탄핵 결정이 끝나고 나면 새로운 정치적 분위기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런 것들을 다 참고를 해야지 무슨 결심이든 할 것 아닌가”라고 부인했다.
이어 김 전 대표는 ‘이르면 다음 주에 탈당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라는 기자의 질문에 “지금은 모든 것이 탄핵 정국에만 집중돼 있지 않나. 앞으로 탄핵 국면에서 국민의 관심이 어디로 갈지 대략 상상할 수 있지 않나”라며 “그 시기에 내가 뭘 하겠나. 상식적으로 판단해보면 되잖나”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김 전 대표는 탈당설이 반복되는 것에 대해 “나는 누구에게 (내 거취에 대해) 물어보지도 않는다. 탈당 얘기도 한 적이 없다. 나는 측근이 없다. 왜 측근을 인용해 자꾸 기사를 쓰느냐”고 지적했다.
또한 김 전 대표는 ‘직접 대선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있다’는 질문에 “출마 좋아하시네… 내가 무모하게 아무렇게나 얘기하는 사람이 아니다. 착각하지 말라”고 일축하면서도 ‘탄핵 결정 후엔 어떻게 하느냐’는 질문에는 “그때 가봐야 아는 것”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그리고 김 전 대표는 “실질적인 결심을 하면 그 배경에 대해 그때 가서 설명할 것이지만 지금은 그럴 시기가 아니다. 앞으로 뭘 할지 방향이 설정돼야 결심을 할 수 있다. 나는 확신이 없으면 결심을 안 하는 사람”이라며 향후 활동방향과 관련해 “제일 중요한 과제는 양분된 나라를 어떻게 묶느냐 하는 것이며 연립정부가 성립되지 않으면 국정을 끌고 가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전 대표는 ‘과도 연립정부가 필요하다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정상 정부지 과도정부가 아니다. 다만 개헌이 돼서 제7공화국이 성립되면 좋든 싫든 대통령의 임기는 그걸로 끝난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김 전 대표는 민주당과 문재인 전 대표에 대해 “경제민주화 법안 문제에 대해 나는 소위 ‘속은 사람’이다. 지난 총선에서 당이 기필코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했는데, 민주당 구성원 중에서 열의를 가진 사람이 별로 없다”고 비판했다.
김 전 대표는 문 전 대표 측 공동선대위원장으로 합류한 전윤철 전 감사원장이 최근 언론 인터뷰를 언급하며 “경제민주화가 포퓰리즘이라고 얘기하는 인간들도 있더라”면서 “경제민주화의 뜻도 모르고 포퓰리즘의 뜻도 모르는 사람들 같다. 그 사람은 그 정도의 수준이니 그렇게 얘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 공동선대위원장은 지난 1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정치권에서 제기된 경제민주화는 실체가 없고 포퓰리즘에서 나온 것”이라며 김 전 대표의 경제민주화를 비난한 바 있다.
이어 전 공동선대위원장은 “사외이사가 제대로 역할을 하고 소수주주권 보호장치를 강화하며 재벌의 부당한 계열사 지원이나 경영 로비를 못하도록 하는 게 재벌개혁의 기본 프레임”이라고 주장하면서 “재벌개혁을 하더라도 경제민주화 원칙에 따라 시스템에 의해 예측 가능하게 해야 한다. 재벌 분할을 말해서는 안 되며, 중소기업 동반성장을 논하면서 조건 없는 사랑을 쏟다가는 중소기업을 오히려 죽일 수 있다”고 주장해 김 전 대표가 격노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