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교육청, 관내 모든 학교 과학실험실에 안전설비 설치

비상샤워기, 연기감지기, 비상 전원차단 스위치 등 총 1300실에 36억여원 투입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6.11.25 08:50:22


부산시교육청은 안전한 과학실험실을 조성하기 위해 관내 모든 학교 과학실험실에 '과학실험실 안전설비 설치' 사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사업은 최우선적으로 학생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탐구․실험중심 수업이 이뤄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부산지역 각급 학교 과학실험실 중 상당수는 전기콘센트가 바닥에 설치되어 있어 먼지나 물에 의한 전기누전 위험이 크고, 화재 감지기는 열감지기만 설치되어 있어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지 못하는 허점이 있었다. 특히 소화기가 눈에 잘 뛰지 않는 바닥에 비치되어 있어 화재 발생 시 즉시 활용할 수 없는 애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은 오는 12월부터 모든 학교 과학실험실에 실당 300여만원씩 모두 36억 7천여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안전설비를 설치하기로 했다.


대상 과학실험실은 초등학교 307개교 513실과 중학교 172개교 379실, 고등학교 및 특수학교 155개교 417실 등 모두 634개 학교 1300여실이다.


이를 위해 12월초 각급 학교에 예산을 배부해 학교별 실정에 맞게 추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번 사업은 전기안전, 화재예방, 지진대비 등 각종 재난으로부터 실험실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중점을 두고 추진한다.


전기안전을 위해선 과학실험실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콘센트를 높이 70cm 이상 위로 옮겨 설치해 누전을 예방한다. 또 교사용 실험대 근처에 학생 실험대의 전기를 차단할 수 있는 비상 전원차단 스위치를 설치해 교사가 위험을 감지하는 즉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화재예방을 위해서는 기존에 설치된 열감지기 외에 화재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연기감지기를 추가로 설치하고, 소화기의 위치를 벽면으로 옮겨 눈에 잘 띄게 한다. 또 소방차가 빠르게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로 표시 등 각종 조치를 취한다.


지진대비를 위해선 실험실기구장을 벽면에 고정시키고, 기구장 유리에 비산방지 필름을 입혀 지진으로 기구장이 넘어지거나 유리파편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과학실험실에 1개 이상 비상샤워기를 설치해 화상 등 사고에 대비하고, 밀폐시약장을 구비해 위험한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시교육청의 안전교육 자료인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이해'와 '5분 안전교육 e-book' 등을 활용해 초등학교 때부터 안전설비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지속적인 안전교육도 실시한다.


시교육청은 이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지난 4일 오후 4시 부산과학체험관에서 고등학교와 특수학교 과학부장교사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했다. 또 5개 교육지원청별로 초․중학교 과학부장교사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가졌다.


안주태 인재개발과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부산의 모든 학교 과학실험실에 안전 장비 및 설비가 획기적으로 갖춰지게 된다”며 “이를 통해 안전한 환경 속에서 실험중심의 창의융합 과학교육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7월 18일 오후 4시45분께 부산 동구 경남여중 1층 과학실에서 누전으로 화재가 발생해 10분만에 진화되었지만 교탁, 칠판, 컴퓨터, 냉난방기 등이 불에 타거나 소실되어 시교육청의 특별교육재정수요경비를 투입해 건물 복구와 기자재를 수리했다.


(CNB=최원석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