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민병원 척추센터 임양선 과장.
PC 사용 증가와 스마트폰 출현으로 목디스크 환자는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목디스크는 경추 사이의 추간판, 즉 디스크가 만성적인 외력이나 갑작스러운 충격에 의해 손상되면서 디스크의 일부가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목디스크가 발병되면 목통증과 팔저림 등의 증상이 발생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목디스크는 위와 같은 증상만 발현되는 것으로 한정 지어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는 등 부분과 어깨의 만성적인 통증으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특히 견갑골 내측 부위에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환자들은 주로 '어깨 결림'이라고 표현하는데, 등 주변에 근육이 뭉치는 느낌이 지속되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만성적인 피로로 인해 일상 생활에 큰 불편함을 호소하게 된다. 물론 단순히 팔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잘못된 생활 습관에서 비롯된 불안정한 자세로 인한 일시적인 어깨결림일 수 있다. 하지만 어깨결림 증상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한 번쯤은 목디스크를 의심해보아야 한다.
특히 중년 여성 환자들에게서 목디스크 증상이 등통증과 어깨결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대부분의 특이 소견이 없는 근육 뭉침으로 착각해 단순 물리치료와 진통 소염제만으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정기적으로 근육을 풀어주기 위해 도수 치료나 경락 마사지 등의 치료를 병행하기도 하지만 효과가 일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뿐만 아니라 목디스크로 인한 어깨결림의 경우 통증 양상이 일반적으로 오전에는 비교적 경미하고 오후에 심해지기 때문에, 만성 피로로 의심하여 내과적인 진료를 먼저 받아보는 경우도 상당하다. 이 역시 목디스크로 인한 어깨결림 증상이기 때문에 내과적 특이 소견이 없다는 답변만 들을 수 밖에 없다.
환자 입장에서는 결국 단순히 약해진 체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건강보조식품에 과도하게 의지하기도 한다. 이렇듯 질환에 대한 잘못된 접근으로 시행착오를 거치는 환자들을 외래 진료실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목디스크의 증상이 등통증과 어깨결림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경추 뼈와 뼈 사이에서 일종의 쿠션 역할을 하는 디스크가 퇴행성 변화와 충격으로 인해 탄력을 잃게 되고, 머리를 지탱하는 본연의 역할을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경추 추간판이 제 역할을 못하게 되면 등쪽 근육이 과도한 압력을 받게 되어 만성적인 등통증과 어깨결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탈출된 추간판이 신경을 압박할 때, 압박 받는 신경의 위치에 따라 팔에 가해지는 방사통도 있겠지만, 연관통이라 하여 내부 자극(경추 디스크)에 의해 발생하는 통증이 피부 부위에 투사(어깨와 등)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만성적인 어깨결림과 등통증이 단순 약물 치료나 물리치료 등 일반적인 근육통 치료에도 호전이 없거나, 목통증과 팔저림, 두통 등이 함께 동반된다면 목디스크를 통증의 원인으로 생각해보는 것이 좋다. 척추를 전문으로 다루는 의료진의 진료와 함께 MRI 등 검사 등을 시행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여 치료하는 것이 이러한 통증을 이겨내는 데에 좋은 방법일 수 있다.
< 도움말= 서울부민병원 척추센터 임양선 과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