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곤기자 |
2016.11.08 15:21:34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지난 7일, 경기복지재단을 대상으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이날 행감에서는 복지재단에 분명한 정체성과 방향성을 바탕으로 내실있는 연구의 수행과 사업의 수행을 촉구하면서 복지허브와 씽크탱크로서 역할 해 줄 것을 당부했다.
문경희 위원장(더민주)은 "재단에 대한 통폐합 논의가 지속돼 온 만큼 존립 당위성 등을 강력하게 표명할 수 있는 논거를 갖춰 존립 타당성을 공고히 할 것"을 당부했고 김철인 간사(새누리)는 경기복지재단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는 한편 연구와 현장지원 등의 역할 강화를 촉구하면서 지역을 대표하는 복지재단으로서 자리매김 하기를 주문했다.
임병택 의원(더민주)은 복지재단에 종사하는 기간제 근로자의 정규직화 및 전문연구원과 위촉연구원과의 임금격차 문제 등에 대한 개선을 주문했으며 김보라 간사(더민주)는 과도한 계약직 비율을 지적하며 계약직과 정규직과의 차별을 철폐하고 현원 확대 등 개선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이어 김보라 간사(더민주)는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운영과 관련해 사례관리가 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면서 사업의 내실화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사례관리가 진행돼야 한다"고 지적했고 송영만 의원(더민주)은 "일하는 청년 통장 사업은 복지적 시각에서 접근이 필요하기에 보건복지국이 사업의 주체로서 역할을 다해야함을 강조하면서 사업 수행 주체로서의 입장을 분명히 해 줄 것"을 당부했다.
김경자 의원(무소속)은 도비절감보다 국비 절감 효과가 큰 기초생활수급자 탈수급 SIB 사업의 타당성 등에 대해 집중질의 했으며 정희시 의원(더민주)과 이은주 의원(더민주)은 경기도 복지기준선 수립 시 31개 시·군의 특성을 고려하여 경기도민을 위한 기준선 마련을 요청했다.
지미연 의원(새누리)은 연구기능을 수행하는 재단에서 연구를 재 위탁하는 문제를 지적하고 공영애 의원(새누리)은 복지사각지대에 처한 대상자를 위한 실질적인 구제방안 마련을 요구했다. 또한 임병택 의원(더민주)은 복지재단이 31개 시·군과 밀접한 교류를 토대로 지역별 실정에 맞는 정책을 제안해 경기도 복지의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할 것을 주문했다.
(CNB=이병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