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의회는 도시에서의 폭염을 재난으로 인식하고 지역특성과 여건에 맞도록 효과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토론했다.
올해 폭염을 경험하며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을 느끼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 시민에 대한 대책안이 논의됐다. 노약자를 비롯해 노동약자 뿐만 아니라 잠재적 취약계층으로 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것으로 이와 함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도시 전체의 구조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도시열섬화 방지를 위해 도시개발계획 단계에서부터 고려하고 취약계층 밀집지역의 구조개선사업과 재정비사업, 폭염을 고려한 녹지조성 등 도시환경적인 측면에서 관련정책의 연계를 요구했다.
수원시의회는 지난 5일 시의회 세미나실에서 수원시정연구원과 함께 토론회를 열고 기후변화 대응역량을 높이는 수원시 만들기 토론을 벌였다. 장정희, 이종근, 조석환 의원을 비롯해 시정연구원, 관계 전문가 및 유관기관 참가자 등 30여명이 모여 분야별 대안들을 제시했다.
수도권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수원시의 경우 올해 6월부터 8월말까지 33℃ 이상의 폭염일수는 30일로 기록됐다. 이는 서울보다 6일이나 많은 수치로 최근 5년간 평균 폭염일수는 수도권 평균 6.2일, 수원은 11.2일로 폭염일수가 지속적으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좌장을 맡은 도시환경위원회 장정희 의원은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은 지속될 것이고 재난으로 인식한 만큼 그에 상응하는 대비가 필요하다”며 재난대응훈련이 몸에 익도록 실질적 체험교육의 중요성을 전했다. 이어 “이번 토론회를 통해 시민의 안전이 보장받을 수 있도록 수원의 지역특성과 여건에 맞는 종합적인 기후변화 적응 및 대응 정책수립과 실행이 이루어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CNB=이병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