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곤기자 |
2016.08.12 15:16:54
경기연구원은 도로명주소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도로명주소 정착 지원 방안을 제시한 도로명주소 정착을 위한 개선과제 보고서를 발간했다.
경기도민 1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로명주소 인식조사 결과 도로명주소를 사용해본 사람은 66.6%로 나타났고 여전히 지번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 33.4%로 조사됐다.
도로명주소가 불편한 이유는 지번주소를 도로명주소로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31.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로명주소를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기억하기가 어렵다(50.7%), 사용할 일이 없다(27.0%), 위치 찾기가 더 어렵다(20.7%) 순으로 나타났다.
도로명주소는 민원업무(72.3%)나 우편물(69.0%)과 같은 공공부문의 이용률은 높은 반면 실생활과 밀접한 음식배달(18.8%), 길찾기(17.6%)에서는 이용이 저조한 실정이다.
도로명주소 정착을 위한 개선사항으로 도로명주소 표지판 등 안내시설문 추가설치(60.3%), 택배, 내비게이션 등 생활 속에 도로명주소 정착지원(57.1%), 홍보·교육(53.7%)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 도로명주소 체계는 지번주소와의 이중사용으로 인한 불편함, 지번주소보다 길어 외우기 어려움, 잦은 도로명주소 변경으로 인한 혼선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로명이 길고 숫자가 포함되어 외우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고 사용자의 20%이상 동의 시 도로명주소를 변경할 수 있어 이로 인한 잦은 주소변경으로 이용자의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지적이다.
옥진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도로명주소 활성화 전략으로 도로명주소 미사용부문 중심의 도로명주소 전환사업 집중지원과 생활밀착형 도로명주소 안내시설 확충, 도로명주소 미사용자 대상의 맞춤형 홍보·교육 강화, 중앙정부 차원의 지자체 홍보사업 선별적 지원 확대를 제시했다.
한편 경기도는 지번주소를 사용하는 업소의 영수증, 홈페이지 등을 제보 받아 도로명주소 사용을 장려하는 도로명주소 신문고 제도를 지난 해 전국 최초로 도입해 도로명주소 미사용자 대상으로 집중 홍보하고 있다.
도로명주소가 정착되지 않은 미사용 사업장은 홈페이지, 카드단말기 등 주소 변경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하고 도로명주소 조기정착과 쉬운 길찾기를 위해 안내시설 확충, 다수를 위한 집단 홍보가 아닌 미사용자를 중심의 집중 홍보하고 성과로 검증된 지자체 홍보사업은 정부 차원에서 지속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옥 연구위원은 제안했다.
(CNB=이병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