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민병원 척추센터 이동엽 센터장.
우리 몸의 척추는 마치 벽돌을 쌓듯이 위, 아래 척추 뼈의 정렬이 맞아 떨어져야 한다. 하지만 척추가 약해지면 위쪽 척추 뼈가 아래 척추 뼈의 앞쪽으로 미끄러지며 움직이게 된다. '척추 뼈가 몸의 앞쪽(전방)으로 미끄러져 움직인다(전위)'하여 이러한 질환을 척추전방전위증이라고 부른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선천적으로 척추가 약해져서 생기는 '협부결손형' 척추전방전위증과 척추관협착증처럼 노화 현상으로 척추가 약해져 발생하는 '퇴행성' 척추전방전위증이 있다.
척추전방전위증의 증상은 척추관협착증의 증상과 상당히 비슷하다. 가만히 앉아있거나 누워있으면 통증이 일어나지 않는다. 오래 걷거나 서있으면 엉덩이와 다리에 통증을 느끼지만 잠시 앉아서 쉬면 바로 좋아진다. 심한 경우 발바닥이 저리고 소변 장애가 유발되는 등 척추전방전위증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심해지며, 질환 방치 시 점차 척추가 몸의 앞쪽으로 점점 더 미끄러지게 된다. 따라서 반드시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고 관리해야 한다.
척추전방전위증이 심한 경우, 신경주사치료나 시술은 일시적인 마취와 진통 효과에 지나지 않는다. 신경주사를 맞거나 시술을 받으면 통증이 호전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고 약효가 떨어지면 다시 통증을 느끼게 된다. 미끄러진 척추 뼈가 신경주사나 시술만으로는 저절로 맞춰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유합수술 등 근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위쪽 척추 뼈가 아래쪽 척추 뼈의 앞쪽으로 미끄러져 뼈의 정렬이 어긋나고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척추유합수술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척추관협착증을 제거하여 눌려있던 척추 신경이 펴지도록 감압한다. 두 번째 단계로는 어긋난 척추 뼈 사이에 있는 손상된 디스크를 제거한 후 그 자리에 인조 디스크를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엑스선 영상을 보면서 나사못을 척추 뼈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몸의 앞쪽으로 미끄러진 척추 뼈를 정상 위치로 잡아 당긴 후 고정해서 위 아래 척추 뼈가 서로 붙도록(유합) 유도한다.
서울부민병원 척추센터 이동엽 센터장은 "척추전방전위증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척추유합수술에는 여러 가지 수술기법이 있는데, 그 중에 본인은 '최소침습 척추유합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최소침습 척추유합수술은 제가 2008년도에 미국신경외과학회지인 Journal of Neurosurgery Spine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서도 탁월한 수술 효과가 입증된 수술법이다. 논문에서는 척추전방전위증으로 최소침습 척추유합수술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 환자분들의 수술결과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수술 성공률이 높았고, 합병증 발생률이 매우 낮았으며, 특히 심각한 합병증은 전혀 생기지 않았다"고 밝혔다.
최소침습 척추유합수술이 상대적으로 빠른 회복과 좋은 수술 결과를 보일 수 있는 이유는 작은 구멍을 통해서 정상 척추 뼈와 근육 그리고 인대는 최대한 살리고, 신경을 누르는 두꺼운 척추 뼈만 선별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이다. 척추 뼈에 엄지손톱 크기 정도의 작은 구멍을 낸 후 그 통로를 통해서 수술을 시행하며, 출혈량이 적고 대부분의 경우 수혈을 하지 않는다. 수술 다음 날부터 보조기 착용 후 천천히 걸을 수 있으며, 수술 후 5~7일 정도 경과하면 퇴원이 가능하다. 수술 부위 척추 뼈가 잘 붙도록 수술 후 3개월 동안 보조기를 차고 활동하며, 엑스선 검사에서 이상이 없으면 3개월 후부터는 보조기를 풀고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최소침습 척추유합수술은 최소 절개된 부위를 통해 수술은 시행해야 하므로 집도의의 역량이 매우 중요한 수술법이다. 물론 수술 과정이 복잡하고 정교한 만큼 환자의 회복이 빠르고 결과도 좋다. 이런 점이 최소침습 척추수술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 도움말 = 서울부민병원 척추센터 이동엽 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