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기자수첩] "실소를 금치 못할" 정부의 해운업 금융지원

  •  

cnbnews 유명환기자 |  2016.01.07 14:32:45

“정부가 해운업계 전문가와 논의를 통해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고 하는데 과연 누구랑 의논 했는지...”, “정부가 지원할 생각이 있는지 의심스럽다”

지난 6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해양수산가족 신년인사회에 참석한 해운업계 관계자가 기자에게 말한 이야기다.

이날은 한 해를 시작하기 위해 해양수산업단체 대표와 정부 인사 500여명이 모여 업계 이야기를 공유하는 뜻 깊은 자리로 마련됐지만 본래 취지와는 달리 온통 정부 금융정책 방안에 불만을 토로하는 자리도 변했다.

어느 한 관계자는 “우리가 여기서 이렇게 넋 놓고 있을 때가 아닌데. 올해 어떻게 회사를 꾸려 나가야할지 정말 고민스럽다”며 기자에서 복잡한 심정을 내비쳤다.

이같이 업계 관계자들이 입을 모으며 말하는 건 최근 정부가 발표한 ‘산업별 구조조정 추진현황과 향후계획’에 포함된 ‘선박펀드’ 때문이다. 

정부가 지난달 30일 국내 해운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12억 달러(약 1조4000억원) 규모의 선박펀드를 조성하면서 지원조건을 부채비율 400% 이하 등 재무상태가 일정한 기업으로 한정했다.

국내 대표 선사인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지난 3분기 말 부채비율(개별기준)은 각각 747%와 786%에 달한다. 이마저도 지난 2013년 1000% 넘은 부채비율을 가까스로 낮춘 결과다. 

하지만 정부가 원하는 부채비율 400%는 멀고도 먼 이야기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이들 기업이 400%까지 떨어뜨리는 데는 향후 2년 이라는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반면 지난해 10월 정부가 대우조선해양에게 4조원에 달하는 금액을 지원할 당시 ▲유동성 지원 및 자본확충 ▲회사 자구 및 구조조정 계획 ▲부실책임 규명 ▲향후 경영관리 및 민영화 추진 등 네 가지 조건을 내건 것에 비한다면 해운업계 지원 조건은 그야말로 실소를 금치 못할 정도로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이같은 상반된 대책을 보고 과연 정부는 해운업계를 지원할 의지가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 해운업계를 생각한다면 좀 더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금융대책을 마련해야 될 시점이라는 게 업계의 큰 목소리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