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성남시청)
지역사회 환원과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성남시가 적극 지원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인 시민기업이 이행조건을 제대로 지키는 등 순황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8일 성남시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 26곳 모든 시민기업을 대상으로 사업자 이행 조건인 ▲회사 주주 구성 인원의 70% 이상 성남시민 ▲실제 종사자 가운데 주주인 성남시민 70% 이상 ▲이윤의 3분의 2 이상 사회 환원 ▲취약계층 일자리 30% 이상 제공 등을 확인한 결과 지키고 있는것으로 조사됐다"는 것이다.
실제 기업별 재무회계를 분석한 결과 시민기업 모두 이행 조건을 제대로 지켜 26곳 회사의 주주 구성원 794명 가운데 성남시민 주주는 92%(730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종사자 654명 중에서는 주주인 성남시민이 79%(514명) 비율을 나타냈다.
시민기업 대표자를 제외한 유급 근로자 727명 중에서는 저소득자·고령자·장애인이 388명인 것으로 조사돼 53%의 취약계층 고용률을 보였다.
지역사회 공헌 활동도 활발했다. 성남 시민기업은 지난해 당기순이익 4억5천만원 가운데 71%인 3억2천만원을 기부금(1억3천만원), 사회환원금(1억9천만원)으로 지출했다. 기업당 평균 1천230만원을 지역 사회에 환원한 셈이다.
특히 주식회사 우리환경개발 등 7곳 시민기업은 한 달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경로당을 청소하고, 환경정비 자원봉사 활동을 해 지역사회에 본보기가 되고 있다는 평가다.
이와함께 매년 근로자의 임금도 올르고 있다. 지난해에는 26곳 기업의 성과금·급여 인상 책정분은 1억9천만원, 2013년도는 8천700만원이었을 정도다. 시민기업의 62%인 16곳은 고용노동부가 사회적기업으로 인증했다.
성남시 일자리창출과 이해종 팀장은 "신규 시민기업을 계속해서 발굴·육성해 시민 예산으로 시행하는 공공사업의 노임과 수익을 지역으로 환원하고, 취약계층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해 나갈 방침"이라며 확대의 뜻을 밝혔다.
한편, 현재 성남시민기업 26곳은 ▲㈜중원기업 등 청소대행업체 20곳 ▲마을버스인 성남시민버스㈜ ▲재활용업체인 ㈜그린나래 ▲수도검침용역업체인 ㈜동광이엔지 ▲㈜한길비에스디 등 소독방역업체 3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