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곤기자 |
2015.01.14 17:00:57
침체된 국내 건설경기의 활로를 해외개발협력사업에서 찾자는 의견이 나왔다. 향후 개발도상국 인구 증가가 지속되는 만큼 대규모 인프라개발 수요가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에서 나온 것이다.
김태경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해외개발협력에서 지역 건설업의 활로를 찾다> 연구보고서에서 국내 건설업의 현주소와 해외개발사업의 상관관계를 고찰했다.
최근 10년 내 국내건설 수주액은 가장 높았던 2007년에 비해 2013년 기준 28.6% 감소했으며 민간 수주액 감소비율은 39.3%에 달하는 등 국내 건설분야 수주액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00%에 근접하거나 상회하는 주택보급률, 높은 가계부채로 부동산 매매수요 저하, 전 세계 최하위권에 속하는 출산율 등으로 국내 건설경기 전망은 밝지 않다.
이러한 국내 건설업의 침체를 벗어나기 위해 해외개발협력이 불가피하다.
해외개발 수주액 중 국내 10대 대기업이 88.5%를 차지한 반면 중소기업은 2008년 이후 급격한 하향세를 보여 4.7%까지 축소된 만큼 이를 활성화하자는 것이다. 또한 건설업체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면 세수도 확보할 수 있고 이는 지자체 경쟁력 강화에도 한 몫 한다는 점을 내세웠다.
김태경 연구위원은 “해외개발협력을 통해 건설기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외개발협력에서의 비중이 10%에 불과한 ODA 사업(공적개발원조)에 한정됐던 협력범위를 넘어 MDB(다자개발은행)와 PPP(민관협력개발), 정부 및 정부 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성 등 다양한 통로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한다.
김 연구위원은 또한 "경기도가 본격적인 해외개발협력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구·예산·조례 등의 정비가 필요하다며 관련 실·국 전단팀 구성, 경기도시공사와의 협의체 구성 등을 피력한다. 이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진출을 지원하고 정보수집, 전문인력확보 등을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기업 지원방안으로는 수원국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입찰·계약제도 개선, 해외건설 인력풀 DB구축 및 현지 정보 포털 사이트 연계 운영, 경기도 우수정책 발굴 및 홍보, 민관합동 참여 및 민간기업의 정부사업 발굴 반영 등이 있다.
(CNB=이병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