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애플페이·구글 월렛 등이 성공적으로 미국 시장에 안착하고 있다는 평이 나오는 가운데, 국내서도 지난 11일 다음카카오의 ‘뱅크월렛 카카오’의 서비스가 시작되며 본격적인 모바일 결제 시대의 개막을 알리고 있다. 그런 가운데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사들과 카드업체들도 앞다투어 모바일 결제 시장에 뛰어들고 있어 패권의 향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CNB=정의식 기자)
▲11일 오후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지점에서 직원들이 이날부터 시작한 모바일 금융 서비스 '뱅크 월렛 카카오'를 선보이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국내에서는 지난 11일 정식 오픈한 다음카카오의 ‘뱅크월렛 카카오’가 서서히 인기몰이를 시작하고 있다.
다음카카오는 금융결제원 및 국내 주요 16개 은행과 공동으로 뱅크월렛 카카오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이 앱을 이용하면 뱅크머니를 통해 카카오 주소록의 지인에게 손쉽게 송금할 수 있으며, 모바일 현금카드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가맹점 결제도 가능하다.
송금과 결제에 사용하는 뱅크머니는 모바일과 온라인 결제를 지원하는 간편형과 오프라인 결제까지 지원하는 NFC형을 선택할 수 있는데, 간편형은 스마트폰에서 소유자 인증을 거친 후 거래은행 계좌정보와 뱅크머니 PIN을 등록하면 간편하게 발급 받을 수 있다. NFC 형은 PC를 통해 뱅크월렛 웹사이트에서 별도의 발급신청 후 스마트폰에 내려 받아야 한다.
뱅크월렛 카카오를 사용해본 유저들은 대부분 호평을 아끼지 않고 있다. 가장 큰 강점은 상대방의 계좌번호를 몰라도 3700만 카카오톡 가입자 모두에게 손쉽게 송금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은행 홈페이지나 전용 앱을 이용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절차가 단순한 것도 장점이다.
서비스 초기인 것을 감안, 송금 규모는 제한된 상태다. 뱅크머니의 충전 한도는 1회 30만원 이하, 1일 50만원 이하이며, 송금 한도는 1회 10만원 이내, 받기 한도도 1일 50만원 이하이다.
보내기 수수료는 현재 적용되지 않고 있지만 서비스가 자리잡으면 소정의 수수료가 적용될 예정이며, 뱅크머니 받기 한도도 은행들과의 협의를 거쳐 차차 늘어날 전망이다.
▲뱅크월렛 카카오로 충전하고 송금하는 모습(사진: CNB뉴스)
기존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제공했던 이통사, 카드사 등은 다음카카오의 선제공격에 긴장하고 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는 저마다 모바일 결제 솔루션의 강화를 선언했다.
SK텔레콤은 최근 블루투스 저전력(BLE) 기술 기반의 모바일 결제 솔루션 2가지를 개발했다. 결제기기에 비밀번호만 입력해도 결제가 이뤄지는 ‘BLE 페이먼트’와 여러 장의 플라스틱 카드를 한 장의 전자카드에 넣어 관리하는 ‘BLE 전자카드’가 그것이다.
KT는 별도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의 단말 정보와 KT가 보유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해 본인 인증을 하는 ‘올레 앱안심인증’을 발표했다.
LG도 간편결제 서비스인 ‘페이나우(Paynow)’에 뱅크월렛 카카오와 유사한 개인 간 송금 기능을 추가했다.
이들 3사는 모두 은행이나 신용카드사와 연계해 스마트폰의 바코드나 QR코드, NFC 등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결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카드사들 “모바일 시장규모 아직 작다”
한편, 카드사들은 비교적 차분하게 대응하는 분위기다. 아직은 모바일 결제 시장의 규모가 오프라인 결제 시장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삼성증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카카오페이가 진입하려는 국내 온라인 신용카드 지급결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31조3000억원이며, 이 중 모바일 신용카드 결제 시장 규모는 약 5조3000억원에 불과하다. 모바일 결제 비중이 급상승해도 2017년 모바일 결제시장 규모는 34조원에 불과할 전망이다. 반면, 지난해 오프라인 신용카드 결제 시장은 온라인 결제의 20배가 넘는 650조원 규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드사들은 뱅크월렛 카카오 등 모바일 결제 시장의 규모가 급성장할 경우를 상정하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유심카드, 앱카드 등 각사의 모바일카드 보급 확산에도 한층 집중하고 있다. 신한카드는 작년말 128만매이던 앱카드 발급 건수가 올해 9월말 385만매로 급증했으며, 삼성카드도 앱카드를 탑재한 전자지갑 엠포켓을 240만건 발매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모바일 결제는 아직 가맹점 확보 등 해결할 과제가 많아 단기간에 신용카드를 위협하긴 어렵지만,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할 경우 수수료율 협상 등에서 카드사들이 불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시장 추이를 보면서 다각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CNB=정의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