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전 경기도청 도지사실에서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판교 환풍구 사고 합동대책본부 활동 종료’에 대한 브리핑을 한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사진=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14일 저녁 6시부로 판교 환풍구 추락사고 합동대책본부 활동을 종료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14일 “더 이상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유가족과 부상자에 대한 합의도 끝나 합동대책본부의 활동을 종료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남 지사는 “판교 환풍구 추락사고 유가족과 부상자 지원은 경기도 안전기획과와 과학기술과에 설치된 연락사무소에서 계속 수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합동대책본부는 사고가 발생한 지난 10월 17일 저녁 8시 25분에 설치돼 유가족 및 부상자에 대한 1:1 전담공무원제 운영, 법률지원 상담(16건), 심리지원서비스(88건)를 제공하는 등 사고를 수습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데일리와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은 판교 환풍구 추락사고 사고발생 3일 만인 지난 달 20일 유가족과 합의했고 11월 4일 중상자 가족, 7일 경상자와 각각 합의를 완료했다.
남경필 도지사는 “다시 한 번 사고로 돌아가신 분들에 명복을 빌며 부상자분들의 빠른 회복을 기원한다고 말하고 다시는 이와 같은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재발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특별히 부상자 치료에 애쓰신 의료진의 노고에 감사하단 인사를 꼭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합동대책본부 활동 종료와 관련해 경기도와 전혀 합의한 사실이 없었다는 성남시의 주장에 대해 경기도는 지난 11월 7일 부상자가족과의 합의가 완료 된 후 경기도와 성남시는 경기도 직원 2명과 성남시 직원 3명 등 총 5명의 직원으로 합동대책본부를 축소 운영해 왔고 오후석 경기도 안전기획관과 김남준 성남시 대변인은 13일 저녁 합동대책본부를 해체하고 연락사무소 체제로 전환하겠다는 논의를 했고 성남시 대변인은 이에 대해 별다른 의견을 내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어 두 사람은 합동대책본부의 활동종료를 알리는 보도자료를 14일 오전 대책본부 명의로 배포하기로 합의했고 당일 보도자료 내용에 대해서도 서로 확인했다고 주장하며 ‘경기도가 성남시와 상의나 통보조차도 없이 일방적으로 합동대책본부 활동 종료를 선언했다’고 말하는 성남시장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또한 경기도는 앞으로도 부상자 치료, 정신건강․심리치료, 긴급복지 상담, 일자리 알선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부상자가족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전하고 판교 환풍구 추락사고 유가족과 부상자 지원은 경기도 안전기획과와 과학기술과에 설치된 연락사무소에서 계속 수행 할 것이라고 밝혔다.
(CNB=이병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