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호남기록문화유산 목록학 총서 나왔다

전남대, 호남문집 기초목록.호남지방지 기초목록 출간

  •  

cnbnews 박용덕기자 |  2014.07.14 15:01:38

전남대학교 호남한문고전연구실이 호남기록문화유산 목록학 총서인 ‘호남문집 기초목록’과 ‘호남지방지 기초목록’을 출간했다.

전남대학교 호남한문고전연구실은 (재)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과 함께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으로 2010년부터 ‘호남기록문화유산 발굴ㆍ집대성ㆍ콘텐츠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두 권의 총서는 그 연구의 성과물로 호남 지역 한문문집과 한문 선장본 지방지의 전체 모습을 처음으로 한 눈에 볼 수 있게 집대성한 것이다.

‘호남문집 기초목록’은 말 그대로 호남 지역 한문문집의 기초 목록집이다. 문집명, 서지사항(판본, 출판년), 저자사항(저자명, 생몰년도, 본관)과 특별사항(추가 간행, 영인본, 번역본) 등 문집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호남 지역과 관련된 문인들의 문집 총 2600여 종을 확인할 수 있다.

‘호남지방지 기초목록’은 호남의 한문 선장본 지방지 자료들에 대한 기초 목록집이다. 호남광역 지방지, 광주권 지방지, 전남권 지방지, 전북권 지방지, 제주권 지방지로 분류한 후 다시 각각의 시·군 지역마다 관련되는 지방지들을 목록화하고 간략히 해제했다. 읍지, 서원ㆍ사우지를 비롯 누정ㆍ사찰지, 시사지 등에 이르기까지 총 1200여 종에 이르는 호남 지역 한문 선장본 지방지에 대한 정보를 처음으로 집성했다.

전남대학교 호남한문고전연구실 김대현 책임교수(전남대 국어국문학과ㆍ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 교수)는 “이 목록집에는 호남의 한문문집, 호남의 한문 선장본 지방지 중 70% 이상은 들어 있다”면서 “앞으로 계속 조사를 진행해 더욱 완전한 호남문집 목록, 호남지방지 목록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호남한문고전연구실은 앞으로도 ‘호남누정 기초목록’ ‘호남문중문헌 기초목록’ 등 호남기록문화유산 목록학 총서를 지속적으로 출간할 예정이다. 김대현 교수는 “이러한 문헌과 관련된 기본적인 연구를 통해 호남문화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센터의 기능을 다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02년 설립된 전남대 호남한문고전연구실은 약 10여 명의 연구원들이 모여 호남 한문문집ㆍ지방지ㆍ문중문헌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연구하고 있다.

호남 한문문집을 전문적으로 조사하고 정리하는 일을 진행하면서 그 동안 몇 차례 호남 한문문집을 목록화하고 해제집을 발간함은 물론 호남 지방지를 조사ㆍ정리하면서 두 차례 지방지 관련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