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해양도시안전위원회 전원석 의원(사하구2,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5일 부산소방재난본부 본예산 심사 과정에서 구급 의약품 및 소모품 예산이 전국 평균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며 “시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부산소방본부는 매년 약 20만 건의 구급 출동을 수행하고 있으나, 2025년 기준 출동 1건당 구급 소모품 예산은 약 3398원에 불과하다. 이는 전국 평균 약 4800원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대도시인 부산의 규모와 출동량을 고려할 때 심각한 예산 부족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다른 시·도 사례를 보면 지역 여건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출동 건수 대비 구급 소모품 예산이 부산보다 최소 1.5~2배 이상 높게 책정된 곳이 다수다. 전 의원은 “기본적인 응급처치만 해도 수천 원이 소요되는 현실에서 3398원으로는 감염 예방은 물론 기본 처치조차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며 구급 현장의 한계를 지적했다.
특히 올해 소방청 국정감사에서는 부산소방본부에서 일회용 기도유지기(I-gel)를 재사용한 사례가 도마에 오른 바 있어, 전 의원은 “안전성과 위생 기준이 더욱 엄격하게 관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의원은 “부산은 전국 3대 도시임에도 구급 소모품 예산이 광역단체 평균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도시 규모와 출동 수를 고려한 적정 예산 확보가 필수”라고 말했다.
부산소방본부는 이에 따라 2026년 구급 의약품 및 소모품 예산을 약 9억 9,735만 원 증액했으나, 고가 소모품 단가를 고려할 때 실질적 개선으로 이어질지에 대해서는 면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 의원은 “부산의 구급체계는 시민 생명과 직결된 필수 공공서비스”라며 “2026년 예산 심사 과정에서 구급 소모품 예산의 현실화와 안전성 기준 강화를 철저히 따져 시민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