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디지털화, 탄소중립 등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구조혁신지원사업’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2022년 새롭게 도입된 구조혁신지원사업은,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대응해 신사업 전환을 모색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로드맵 수립부터 정책자금·R&D 연계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중진공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3년간 사업·디지털·일자리 전환 등 구조혁신지원사업에 참여한 1861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성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사업 참여기업의 지원 1년 후 평균 매출액은 약 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은행의 2023년 기업경영분석보고서(2024년 10월 발표)에 따른 국내 일반 중소기업의 평균 매출 증가율 2.8%보다 약 4.0%p 높은 수치로, 구조혁신지원사업이 기업의 재무성과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했음을 객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일례로, 자동차 전장부품 제조기업 ㈜백억전자는 중진공의 사업전환 컨설팅을 통해 매출 163.3%, 종업원 수 23.1% 증가하는 성과를 기록하며 기업 규모가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경두 백억전자 대표는 “기존 LED에서 자동차 전장부품 분야로 사업구조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고민이 많았는데, 중진공의 사업전환 컨설팅을 통해 빠르게 해결할 수 있었다”며 “특히 사업모델 고도화, 설비투자 계획 수립 과정에서 큰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다.
강석진 중진공 이사장은 “지난 3년간 구조혁신지원사업을 통해 많은 중소기업이 경영 체질을 개선하고 매출 등 성장성 부문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이뤄냈다”며 “앞으로 AI·디지털·탄소중립 등 미래 산업에 대응하기 위한 구조혁신 수요가 더욱 확대되는 만큼 보다 정교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구조혁신지원사업은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중소기업이면 참여 가능하며, 신청은 중진공 구조혁신지원사업 누리집을 통해 접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