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보증기금이 금융 취약계층의 신용회복과 재기지원 활성화를 위해 '성실 채무자 재기지원 강화방안'을 시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방안은 새정부의 포용금융 강화 기조에 부응해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금융 취약계층의 채무부담을 경감하고 성실 상환 채무자의 신속한 신용회복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내용은 ▲새출발기금 지원대상 확대 및 취약계층 감면 혜택 강화 ▲새도약기금을 통한 장기·소액채권 정리 및 맞춤형 채무조정 ▲시효완성 등 추심불능채권 소각 확대 ▲성실 채무상환자 대상 인센티브 확대 ▲우수기술 보유 재도전기업 자금지원 활성화 등이다.
특히, 기보는 소상공인과 장기·소액 연체자에 대해 새출발기금 및 새도약기금을 통해 채무조정을 지원하고, 역대 최대규모인 약 7000억원 이상의 추심불능채권을 연내 소각해 과거 연체기록으로 불이익을 받는 채무자의 금융거래 정상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보는 성실하게 채무를 분할상환 중인 채무자에 대한 원금감면율을 상향하고, 우수기술 보유 재도전기업에 대한 전결권을 완화하는 등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재기지원을 추진할 방침이다.
김종호 이사장은 “이번 방안을 통해 상환 의지를 가진 채무자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정책금융기관으로서 금융 취약계층의 신속한 회복과 재도약을 지원하고 포용금융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