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 제조업계 ‘R&D 인력 가뭄’…임금 격차에 인재 유출 심화

부산상의, 지역 제조기업의 연구개발인력 미스매치 현황 조사결과 발표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08.19 09:58:30

연구개발인력 채용 애로사항.(사진=부산상의 제공)

디지털 전환, 친환경 확산,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글로벌 경영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부산지역 제조업체들이 연구개발(R&D) 인력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의 임금 격차와 근무환경 차이로 인해 지역 우수 인재가 빠져나가면서 ‘인력 미스매치’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부산상공회의소는 19일, 지역 제조기업 200개사와 부산지역 이공계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산지역 제조기업의 연구개발인력 미스매치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역기업의 53.5%는 현재 R&D 인력 수급이 ‘적정하다’고 답했으나, 정부의 R&D 예산 확대와 산업경기 회복에 따라 인력 수요가 늘 경우 연구개발 인력 부족 사태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기업들이 꼽은 가장 큰 애로사항은 우수 인재 확보의 어려움(49.5%)이었다. 높은 인건비 부담(22.2%), 조기 퇴사(14.5%) 등이 뒤를 이었다. 부산상의는 “수도권에 비해 낮은 초임과 근무조건이 인재 유출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조사 결과, 지역기업의 90%가 R&D 인력 초임을 연 4천만 원 미만으로 지급하고 있는 반면, 이공계 대학생의 31%는 4천만 원 이상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실임금과 기대임금 간 괴리가 확인됐다. 기업은 실무경험·교육훈련 이수 등을 중시하는 반면, 학생들은 임금·근무시간 준수 등 조건을 우선시하는 등 채용 과정에서의 인식 차이도 컸다.

정부가 산학협력, 채용연계 프로그램 등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지역 맞춤형 R&D 인력 양성 정책은 미흡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지역 기업들은 정부에 ▲우수 연구개발 인력 공급 확대 ▲R&D 인건비 지원 강화 ▲산학협력과제 확대 ▲지역 인재 유출 방지 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부산상의 조사연구팀 관계자는 “지역 중소·중견기업의 R&D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현실임금과 기대임금 간 격차 해소가 가장 시급하다”며 “채용 연계형 산학협력 확대와 인건비 지원을 통해 우수 인재가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