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해진공, 북극항로 개척 위한 금융·정보 지원체계 마련 착수

재원 마련·운항 및 정보 방안 등 정책 뒷받침 위한 전략 마련 제시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07.23 15:20:50

 북극항로 개척방안 및 선결과제 점검 토론회 안내 포스터.(사진=해진공 제공)

한국해양진흥공사가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금융·정보 지원체계의 제도적 기반 마련에 착수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최근 신정부의 핵심 해운물류 정책으로 부상한 북극항로 개척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이고 체계적 대응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최근 수에즈운하 병목 현상과 홍해 해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심화되면서, 글로벌 해상물류 공급망의 불안정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 온난화에 따른 해빙 현상과 맞물려 북극항로가 대체 항로로 주목받고 있으나 실제 상업 운항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경제성, 안정성, 운항 인프라 등 복합적인 요소의 선제적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해진공은 향후 북극항로 상업 운항에 대비한 지원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우선으로 쇄빙선 확보, 인프라 구축 등 재원 마련 방안을 제안하고, 업계의 상업 운항 조기 실현을 위한 운항 및 정보 지원방안 등 정책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해진공은 이 같은 내용을 오는 25일 국회에서 개최되는 ‘북극항로 개척방안 및 선결과제 점검 토론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해당 토론회는 문대림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시 갑)이 주최하고 해진공이 주관하며, 해운업계, 학계, 정책 관계자들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북극물류연구소 홍성원 소장을 비롯하여 팬오션, HMM, 폴라리스쉬핑 등 주요 해운사가 발제자로 나선다. 발제자들은 북극항로 운송 현황과 지정학적 이해관계, 법률적 과제, 북극항로 운항 사례와 업계의 현실적인 의견, 그리고 정부·정치권 및 금융권의 지원 수요 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해진공은 ‘금융 및 정보 지원방안’을 통해 정책 추진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한다. 이후 종합토론을 통해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향후 지원방안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문대림 의원은 “북극항로 개척은 단순한 선언이 아니라 기업과 산업 현장의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이 마련돼야 가능한 과제”라며, “이번 토론회가 그 기반을 만들어 가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안병길 사장은 “북극항로 개척은 단순한 항로 확보를 넘어 우리 해운산업의 전략적 도약 기회”라며 “해진공은 금융·정보·네트워크 등 우리가 가진 역량을 총동원해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