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국립창원대 G-램프사업단 전상채 교수, 국제저명학술지 논문 게재

“다공성 알루미나 기계적 강도 향상 위한 MgO 첨가와 2단계 소결법의 시너지 효과 규명”

  •  

cnbnews 손혜영기자 |  2025.07.08 14:15:23

전상채 교수(왼쪽 네 번째) 연구팀.(사진=국립창원대 제공)

국립창원대학교 G-램프(LAMP)사업단은 전상채 국립창원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의 논문 'Synergetic effect of MgO doping and two-step sintering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porous Al2O3 prepared by freeze-casing'이 국제저명학술지인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Impact Factor: 5.8, JCR 상위 8.3%)에 게재됐다고 8일 밝혔다.

전상채 교수 연구팀의 이번 연구는 MgO 첨가와 2단계 소결(two-step sintering, TTS) 기법의 시너지 효과를 활용해 다공성 알루미나(Al2O3)의 기계적 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조 공정을 개발해 주목을 받고 있다.

다공성 알루미나는 우수한 경량성과 투과성으로 인해 여과재, 촉매 지지체, 절연체 등 산업·에너지·환경 분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기계적 강도가 낮아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TTS 기법을 통해 소결 온도와 시간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MgO 첨가를 통해 기존 대비 상대 밀도(45.44% TD)는 높이고, 입자 크기(0.814 μm)를 줄여 압축강도를 9.37 MPa로까지 크게 향상시켰다. 또한 MgO 첨가유무 비교실험을 통해 첨가 효과를 명확히 입증했다.

전상채 교수는 “다공성 세라믹은 가볍고 통기성이 뛰어나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각광받고 있으나, 내구도가 늘 걸림돌이었다”며 “이번 연구로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고기능성 세라믹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한층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후속 연구를 통해 산업별 맞춤형 소재 개발과 성능 최적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립창원대 전상채 교수 연구실에서 진행한 이번 연구는 교육부가 주관하는 G-램프(LAMP)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