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희기자 |
2025.04.08 09:39:59
부산시가 내수 부진과 고물가 여파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상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2025년 긴급 추가경정예산을 편성, 총 4688억 원 규모의 ‘민생경제 활력 더하기’ 대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역 상권의 매출 증대와 소비 촉진, 폐업 소상공인의 재기 지원, 전통시장의 디지털 전환 등 민생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대규모 종합 지원책으로, 총 14개 사업이 포함됐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대책은 지역 경제의 뿌리를 지탱하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상반기 내 예산을 신속히 투입해 체감 효과를 극대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부산시는 특히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해 4325억 원 규모의 금융 지원을 집중한다. 새롭게 도입되는 ‘소상공인 3무(無) 희망잇기 카드 지원 사업’을 통해 4만 명에게 최대 500만 원 한도의 운영자금 전용 카드를 제공하며, 이자는 물론 연회비와 보증료도 면제된다. 여기에 이차보전 확대를 통해 추가로 2325억 원의 자금을 지원하고, 부산신용보증재단 출연금도 늘려 보증지원 기능을 대폭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지역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도 대거 포함됐다. ‘부산세일페스타’를 비롯해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한 판매 촉진 사업과 온누리상품권 환급 지원 등이 마련됐으며, 전통시장에서 일정 금액 이상 물품을 구입하면 최대 1만 원까지 상품권으로 돌려주는 환급 정책도 새롭게 추진된다. 지역화폐 동백전의 캐시백 한도는 월 30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상향되며, 캐시백율도 가맹점 규모에 따라 최대 7%까지 높아져 골목상권과 소상공인 가맹점에 실질적인 소비 효과가 기대된다.
경영 위기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재기 프로그램도 눈에 띈다. 시는 ‘소상공인 경영개선 토탈패키지 지원 사업’을 신설해 200개 업체를 선정, 각 사당 최대 400만 원 규모의 경영 컨설팅, 자금지원, 금융비용 등을 패키지로 제공해 효율적인 경영 정상화를 유도한다. 폐업 소상공인에게는 재취업 지원도 강화된다. 취업에 성공할 경우 자산 형성을 위한 ‘희망 두 배 통장’이 제공되며, 채용한 기업에는 ‘고용 인센티브’가 지급된다. 직업훈련 수당도 기존 월 30만 원에서 60만 원으로 대폭 인상돼 폐업 이후의 안정적인 재도전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통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과 문화관광 자원 연계 정책도 본격 가동된다. 충무동 해안시장, 망미중앙시장, 부산자유시장, 반송큰시장 등은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집중 육성되며, 민락골목시장과 신평골목시장 등은 디지털 시스템을 도입해 온라인 기반 판매 활성화를 도모한다. ‘첫걸음 기반 조성 사업’으로는 남천해변시장이 지원을 받는다.
이외에도 부산시는 영도구를 대상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인 커피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 데이터 분석 기반의 R&D와 사업화 지원에 나서며,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한 브랜드 및 기술개발, 홍보 마케팅 등의 사업개발비 지원 사업도 신규로 추진해 기업 자립 기반을 넓힌다.
박형준 시장은 “지금은 무엇보다도 지역 경제의 생존과 회복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며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 중심 정책을 앞으로도 적극 추진해, 부산 경제 전반에 지속가능한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