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농촌 문제 해결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및 청년 농촌 정착 지원
국립순천대학교(총장 이병운)는 농촌 사회의 소멸 위기 극복, 청년층의 농촌 정착 문제 해결 및 농촌 지역사회에서의 성공모델 제시를 위한 ‘2024 그린스마트팜 청년 농입인 유입을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대학에 따르면 지난 11월 4일부터 진행된 경진대회는 총 21팀 57명의 학생이 아이디어를 제출하였고, 아이디어 제안서와 발표 동영상으로 1차 서면평가를 진행해 총 14팀선정 후, 지난 12월 5일 2차 발표평가를 거쳐 최종 7팀을 선정했다.
심사는 전문가 심사위원 5명과 그린스마트팜 분야 학생 및 교직원 심사위원 25명으로 청중평가단을 구성해 창의성, 구체성, 실현가능성, 사회적효과 등을 종합하여 공정하게 심사하였다. 그 결과, 원예학과 Idea Factory팀(우한승, 엄현수, 차세영)의 ‘스마트 식물공장을 활용한 청년 창업 및 도시재생 모델’ 아이디어가 대상(전라남도지사상)을 수상했다.
그 밖에도 ▲ 최우수상(국립순천대학교 총장상, 1팀) △ ‘팜파르’팀(농업경제학과 조경준, 한경수, 박성찬; 데메테르: 곡식과 수확의 여신), ▲ 우수상(고흥군수상, 2팀) △ ‘그린링크’팀(융합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김가은, 박나현; 알고리즘을 통한 농업 솔류션을 제공하는 농기계 중고 플랫폼), △ ‘농경새싹’팀(농업경제학과 강한별, 서윤하, 김은혜; 농업 캠퍼스 브릿지, ▲ 장려상(그린스마트팜 고흥캠퍼스 단장상, 3팀) △ ‘농지우선’팀(농업경제학과 황금영, 서지은, 농생명과학과 지윤정), △ ‘우농미: 우리의 농업이 미래다’팀(농생명과학과 허근녕, 박준철, 박민규; 함께 가꾸는 농촌, 청년의 꿈을 심다), △ ‘Agrivision’팀(농업경제학과 강서연, 김민주, 이다경; AI 농촌지도사) 등이 수상 아이디어로 선정됐다.
대상을 수상한 원예학과 엄현수 학생은 “학교 교육으로 우리 농업의 미래를 위한 청사진을 그리고 도시재생 등의 스타트업 모델을 지원해 청년들의 안정적인 농촌정착을 유도하는 것이 지산학 협력”이라며, “글로컬 대학 선정으로 혁신을 맞이한 국립순천대학교가 농업ㆍ농촌의 변화를 선도하는 선도 모델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글로컬대학사업을 총괄하는 문승태 대외협력부총장은 "학생들이 제시한 아이디어는 인구소멸 위기에 직면한 농업ㆍ농촌의 현실문제 해결을 위한 매우 시의적절한 주제로 농업ㆍ농촌의 지속가능성 확보 및 지역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며, “학생들의 아이디어가 실현될 수 있도록 식물공장을 활용한 청년 창업 지원 등의 사업계획을 2025년 예산에 반영하여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