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원섭기자 |
2023.03.27 09:50:22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연일 윤석열 정부 대일외교를 겨냥하는 동시에 민생행보에 고삐를 죄고 있는 가운데 당내로는 이르면 이번 주 대규모 당직 개편 등 인적 쇄신 신호탄을 쏘아 올리면서 비명(비이재명)계 달래기와 함께 ‘사법 리스크’ 돌파에 주력하고 있다.
이 대표가 체포동의안 표결의 무더기 이탈표 사태 이후 당내에서 제기된 ‘전면적 인적 쇄신’ 요구를 받아들인 것이지만 비명계가 요구하는 ‘탕평 인사’가 어느 정도로 단행되는지가 당 내홍 수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민주당 내 최대 의원 모임인 더좋은미래(더미래)는 지난달 27일 이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 이후, 이 대표에게 친명계 위주로 구성된 지도부에 대한 '전면적 인적 쇄신'을 요구했으며, 이에 이 대표는 일부 지명직 최고위원을 비롯해 더불어 당 정책위의장·전략기획위원장 및 대변인 등 주요 당직자들을 교체할 것으로 전해졌다.
친명계로 분류되는 김성환 정책위의장과 문진석 전략기획위원장, 김병욱 정책위 수석부의장, 김남국 미래사무부총장 등은 이미 일주일 전에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이 대표는 호남 몫 지명직 최고위원인 임선숙 최고위원의 사의를 수용한데 이어 대변인단 교체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내년 공천 실권을 쥔 조정식 사무총장은 유임 분위기가 강해 논란의 불씨가 될 가능성도 있다. 이번 당직 개편에서 조 사무총장이 유임될 경우, ‘측근 지키기’라는 비난과 함께 이 대표에 대한 퇴진론이 다시 고개를 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 내홍 수습을 위한 이번 당직 개편의 관건은 그 범위와 탕평인사 여부다. 비명계가 요구하는 만큼의 인적 쇄신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이 대표 사퇴론이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CNB뉴스=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