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가 지난 19일 서울 삼성동 무역센터에서 정만기 부회장 주재로 ‘제5차 수출 애로 타개 및 확대를 위한 업종별(바이오·석유화학·섬유 산업) 긴급 대책 회의’를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무역협회는 ▲자동차‧부품‧이차전지(1월 5일) ▲조선‧철강(10일) ▲원전·엔지니어링·플랜트(12일) ▲반도체‧디스플레이‧전자정보통신(18일) 분야의 수출 상황을 점검한 바 있다.
다섯 번째로 열린 이번 회의에는 한국바이오협회, 한국석유화학협회,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한국산업연합포럼 등 업종별 협·단체와 바이오·석유화학·섬유 기업 관계자, 산업통상자원부 소관과 담당자 등 20명이 참석했다.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2021년 기준 세계 바이오 시장 규모는 5837억 달러로 아직 크지 않지만 오는 2027년까지 연평균 7.7% 성장이 전망되는 미래 산업”이라며, “국내 바이오산업의 생산 규모도 2021년 21조원(수출 11조 9000억원, 내수 9조 1000억원)을 기록하는 등 지난 5년간 2배 이상 확대됐으나 시장 규모는 글로벌 시장의 3%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말했다.
정만기 부회장은 “미래 성장성에도 불구하고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인력 부족은 물론 엄격한 규제 등으로 우리 바이오 기업들은 외국 기업에 비해 불리한 여건에 놓여 있다”며, “각종 규제와 인허가 절차 지연으로 인해 신생 바이오 기업들의 시장 진입이 어렵고 경쟁력 확보가 지연되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 부회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안정성, 유효성, 임상적 유용성 입증 의무로 인해 신기술 도입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으나 미국·영국·캐나다 등에선 환자의 치료받을 권리를 존중해 의사와 환자가 합의하는 경우 사용이 허용되는 등 신기술의 시장 진입이 상대적으로 넓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내 시장 진출 시 과도한 자료 요구, 애매한 개인 정보와 민감 정보의 처리 기준, 의료 데이터 활용 어려움 등으로 일부 기업들은 국내보다는 해외에 먼저 진출하는 경우도 있다”며, “바이오 관련 국내 규제의 글로벌 스탠다드화가 시급하고 화학 바이오, 의료 바이오 등 전반적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종합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고 강조했다.
정 부회장은 석유화학과 관련해 “올해 중국 등의 설비 증설로 인한 과잉 공급과 글로벌 수요 감소로 인해 수출이 어려울 전망이나 더 큰 문제는 미국의 청정경쟁법(Clean Competition Act),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추진 등으로 인해 친환경 기준이 강화되는 것”이라며, “친환경 설비 투자 등의 분야에서 정부 R&D 지원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섬유산업은 만성적 인력 부족을 겪고 있다”며 “외국 인력 확대에 더해 IT를 활용한 지능화와 자동화 등 정부 차원의 스마트 제조 확산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진 업종별 발표에서 오기환 한국바이오협회 전무는 “올해 바이오 산업 수출은 바이오 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및 바이오 의약품의 위탁 생산 확대가 진단키트 수출 감소세를 상당 부분 상쇄하며 전반적으로는 전년 대비 소폭 감소 또는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기환 전무는 “미국 FDA가 허가한 바이오 시밀러 39종 중 국산 제품이 9개로 시장 점유율 2위를 기록하고 있는 만큼 FDA 허가 신약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판매되고, 바이오의약품의 위탁 생산 또한 지속 확대됨에 따라 수출 감소세가 장기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오 전무는 “의약품 및 의료기기 수출은 현지 인허가 획득 과정이 어렵고 국가별로 다양한 규제가 있어 규제 해소를 위한 부처 간 협력이 중요하다”며,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련 부처가 수출 관련 논의에 참여해 업계가 요구하는 심사 인력 확충, 국가 간 상호인정 협정(MRA) 체결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무역협회나 KOTRA 등 수출 지원 기관에서도 바이오산업에 대한 이해가 높은 전문 인력을 확보해 해외 파트너와 국내 기업 간 상시적 교류를 지원하는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평중 한국석유화학협회 본부장은 “산업단지 규모별 일정 비율 이상의 녹지 확보 규정으로 인한 여유 부지 부족으로 인해 설비 증설과 친환경 전환 투자 시 어려움이 크다”며 “녹지율 축소 또는 대체 녹지 확보를 통한 투자 지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김평중 본부장은 “울산에서 생산한 제품 수출을 위해 부산발 국제화물선을 이용해야 하는 현실로 인해 내륙 운송비 발생 등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다”며, “울산항 활용을 높이기 위한 신규 항로 개척과 이를 위한 세제 지원, 대형 선박 기항을 위한 신항만 건설이나 항만 시설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GCC 산 석유화학 제품에 대해 WTO 기본세율 6.5%를 적용하고 있으나 한-GCC FTA 협상 과정에서 폴리에틸렌 등 석유화학 품목이 관세 양허 품목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있다”며, “해당 제품의 양허관세 적용 시 비산유국인 국내 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도엽 한국섬유산업연합회 실장은 “섬유 산업의 수출은 전년 대비 5.0% 감소한 118억 달러를 기록할 것”이라며, “올해 의류 등 섬유 제품과 범용 소재 수출은 위축될 전망이나 아라미드와 탄소섬유 등 산업용 소재는 상대적으로 양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도엽 실장은 “베트남‧중국‧인도네시아 등 봉제 국가의 주문은 감소하는 반면 경기 호황과 한국산 선호 현상 확대로 인해 중동 수출은 증가할 것”이라며, “미-중 갈등 심화와 공급망 재편에 따른 반사 이익도 기대된다”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팬데믹 이후 해외 전시회, 바이어 대면 미팅은 증가하고 있으나 정부 지원 규모는 축소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대면 마케팅이 중요한 섬유 산업의 특성을 고려해 정부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중소기업의 경우 외국 수입규제 대응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수출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며, 반덤핑 등 수입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만큼 중소기업의 수입규제 대응을 위한 정부 차원의 비용 지원과 규제 해소를 위한 외교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무역협회는 회의에서 제기된 애로에 대한 구체적 정책 대안을 마련해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 부처에 건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