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구병두의 세상읽기] ‘물 부족 국가’ 대한민국… 재생에너지 활용한 대규모 담수화가 답이다

  •  

cnbnews 구병두기자 |  2022.09.01 11:23:12

매년 3월 22일은 UN이 제정한 세계 물의 날이다. 2013년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OECD 환경 전망 2050’ 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2050년이 되면 OECD 소속 국가 가운데 가장 심한 물 스트레스를 겪게 될 것이라고 한다. UN은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라는 비영리단체가 정한 기준에 따라 국민 1명이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하천수나 지하수 등의 수자원 총량이 1700㎥ 이상이면 물 풍요(water sufficiency), 1000∼1700㎥이면 물 부족(water stress) 그리고 1000㎥ 이하이면 물 기근(water scarcity) 국가로 분류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국민 한 사람이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수자원 총량이 1471㎥로 물 부족 국가에 속한다.

1970년대 우리나라 경제성장 동력의 한 축을 담당했던 중동 건설현장에 다녀온 산업역군들의 공통된 일성(一聲)은 중동에서 물 값이 석유 값보다 더 비싸다는 것. 당시 우리나라 사람 가운데 그 말을 곧이곧대로 믿은 이가 과연 얼마나 되었을까?

우리말에 돈을 물 쓰듯 쓴다는 말이 있다. 이는 돈을 물처럼 펑펑 쓰다, 낭비하다, 탕진하다는 영어의 ‘splash out’과 동의어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다. 이제 돈을 펑펑 쓴다든지 낭비하고 탕진한다는 것을 물에 비유한다면 뭔가 논리적으로 모순된 것 같은 느낌마저 든다.

물은 지표면의 3분의 2이상을 덮고 있지만 그중 97.5퍼센트는 마실 수 없다. 인간에게 남는 물은 고작 2.5퍼센트에 불과하지만 그 가운데 70퍼센트 이상은 빙하, 만년설, 영구동토층(permafrost)이어서 사용할 수 없다.

OECD는 2030년이 되면 물 문제가 더 심각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전 세계 인구의 절반가량인 40억 명 가량이 심각한 물 부족 현상에 시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도시들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동아시아, 남아시아, 중동지역 등이 물 부족으로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 서부의 속담에 “위스키는 마시라고 있고, 물은 싸우라고 존재한다”는 말이 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이, 오래 전부터 물 문제로 국제간의 분쟁이 끊이질 않고 있다. 터키와 이라크는 티그리스 강 수자원을 두고 분쟁 중이며, 에티오피아와 이집트도 나일 강을 두고 분쟁하고 있다. 중국과 라오스는 메콩 강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고, 미국과 멕시코는 리오그란데 강의 물 사용 주도권을 놓고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큰 재난들은 대부분 물 부족 현상과 함께 일어났다. 이는 UN이 자연재해 중 90퍼센트 이상이 물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포스코건설의 광양 동호안 해수담수화 플랜트. (사진=연합뉴스)

물은 다른 자원과는 달리 대부분 다시 채워 쓸 수 있는 자원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그 질과 분배량이 심각한 갈등과 마찰의 원인이 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Boutros Boutros Ghali) 전 유엔 사무총장은 일치감치 “중동의 다음 전쟁은 물을 둘러싸고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또한 2008년에 “다음 세기의 석유는 물이 될 것”이라면서 21세기 인류는 식품과 에너지보다 물 부족으로 더 많은 고통을 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세계미래보고서 2055>에 따르면 세계 제조업계의 물 수요는 2000년부터 2050년까지 400퍼센트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세계 물의 15퍼센트를 사용하는데 물의 사용량은 2035년까지 적어도 20퍼센트 증가가 예측된다. 현재 가뭄, 토지 황폐화, 사막화로 인한 물 부족이 세계 15억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는 가난, 식량 안보, 영양 결핍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약 80퍼센트는 물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작금의 심각한 기후변화는 해수면을 상승시켜 세계 해안 지대의 담수는 염수로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식수 부족 현상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다 식수 문제 해결을 위한 탈염수화는 엄청난 양의 화석연료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증가시켜 기후변화 대응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그러므로 재생에너지 활용은 필수불가결하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대규모 담수화에도 가장 안정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구병두((사)한국빅데이터협회 부회장/ 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주)테크큐 연구소장)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