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건축 및 주택사업본부 전 현장에 클라우드 기반 BIM 협업 시스템을 구축해 스마트 건설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건축 정보 모델)은 3차원 모델을 토대로 시설물의 전체 생애주기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시설물의 형상, 속성 등을 포함한 디지털 모형으로, 현재 건설산업 모든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현대건설이 도입한 ‘Autodesk BIM 360’은 건설 과정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다. PC에 설치된 프로그램이 아닌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서버의 데이터 저장소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고사양 하드웨어나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프로젝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클라우드 저장소에는 설계부터 시공까지 BIM 모델과 도서, 보고서 등 프로젝트에 관련된 데이터가 담긴다. 현장의 작업자는 물론 발주처와 설계사, 협력사 등 프로젝트에 관계된 모든 사람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수정이력을 검토할 수 있다. 이 모든 내역이 기록·저장되어 프로젝트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원활한 협업이 가능하다.
현대건설은 올해 초부터 진행한 테스트를 통해 BIM 기반 협업 환경의 운영성 및 효율성에 대한 검증을 완료했다. 전사 차원의 BIM 확산과 관련 역량 내재화를 위해 협업 시스템 운영 프로세스 및 활용 가이드에 대한 사내표준을 정립한 데 이어 체크리스트, 이슈 관리항목 등 BIM 360 템플릿도 체계화했다.
표준화된 업무 환경으로 효율적인 BIM 데이터 관리·운영의 토대를 마련한 현대건설은 올 하반기 착공 현장부터 순차적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적용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향후 신규 프로젝트 착수 시 프로젝트 설정 소요 시간을 절약하고, 체크리스트 기능을 활용한 품질 검토 및 승인 절차를 통해 BIM 데이터의 품질을 확보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