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카드가 항공사 업종의 매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로 움츠렸던 여행 수요가 서서히 회복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분석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그 이후인 2020년부터 2022년 1분기까지 약 3년 간의 항공사 업종을 이용한 KB국민카드 고객들의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매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코로나19가 시작한 첫해인 2020년 항공사 매출은 전년 대비 73%, 코로나19 2년차인 2021년에는 75% 감소했다.
분기별 항공사의 매출액 증감을 보면 2020년 1분기는 2019년 동일 분기 대비 52% 감소를 시작으로 2020년 2분기에는 85%까지 매출이 감소했으나, 2021년 4분기에 매출 감소는 65% 수준으로 서서히 회복됐다.
항공사에서 결제를 하고 취소가 된 매출 건수 취소율을 보면 2020년 22%, 2021년은 17%로 코로나19 기간에 항공권을 구매하고 취소를 해야만 했던 상황으로 2019년 대비 취소율이 각각 1.8배, 1.3배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가 시작한 2020년 1분기에는 항공사 결제 건 4건당 1건 이상 취소가 되는 가장 높은 취소율(26%)을 보였으며,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제일 많았던 2022년 1분기 취소율은 16%로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항공사를 결제한 금액 대별로 매출 건수 비중을 살펴보면, 30만원 미만 매출 건수 비중은 2019년 63%, 2020년 86%, 2021년에는 90%로 대부분의 항공권 매출이 30만원 미만에서 결제가 이뤄졌으며, 10만원 미만 매출 건수는 2019년 36%, 2020년 61%, 2021년 65% 비중을 차지하면서 주로 국내에서 발생 가능한 10만원 미만 위주의 항공권 매출이 발생했다.
항공사 30만원 이상 매출 건수 증감를 보면 2020년은 77%, 2021년 79% 감소한 반면, 30만원 미만 매출 건수는 2020년에는 20% 감소했으나 2021년은 7% 증가해 국내 위주의 항공권 결제가 활발히 일어난 것으로 봤다.
국내 위주의 항공권 구매가 대폭 증가한 연령은 20대로 2020년 1분기, 2분기에는 매출 건수가 다소 감소했으나, 2020년 3분기에는 23%로 증가로 전환되면서 2021년 2분기에는 91%까지 증가했다. 최근 2022년 1분기에도 2019년 1분기 대비 65% 증가했다. 20대의 경우 해외여행으로 가던 발걸음을 국내여행으로 돌려 여행에 대한 욕구를 해소한 것으로 보이며, 30대의 경우도 코로나19 기간 중 항공사 30만원 미만 매출 건수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도와 비슷한 매출 건수를 유지했다.
코로나19 3년 차인 2022년 1분기 주차별 항공사의 매출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 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30만원 이상 결제금액에서 회복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해외여행으로 추정되는 30만원 이상 결제금액의 매출이 2022년 1월 1주차에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주차 대비 89% 감소였으나, 코로나19 확진자수가 10만명 이상을 기록한 2022년 3월에는 항공사 전체 매출뿐만 아니라 30만원 이상 결제금액에서도 빠른 회복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3월 2주차가 넘어서면서 회복이 빨라져 3월 4주차에는 67% 감소하는 수준까지 회복됐다.
코로나19 확진자가 10만명이 넘은 2022년 3월에 항공사를 이용한 고객의 연령대는 20대 30%, 30대 24%, 40대 21%, 50대 18%, 60대 이상은 7%로 20~30대가 결제 건수의 54%를 차지했으며, 30만원 이상 결제 건수 비중을 보면 20대는 여성 17%, 남성 10%이며, 30대는 여성 29%, 남성 25%로 20~30대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로 갈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봤다.